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사회불안과 편집증 간의 관계: 외로움과 추론편향의 이중매개효과
The Relation between Social Anxiety and Paranoia: Dual Mediating Effects of Loneliness and Reasoning Bias
이소희, 양재원
DOI http://dx.doi.org/10.35734/karp.2022.29.1.003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이 편집증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주목하여 두 변인의 관계에서 외로움과 추론편향의 이중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297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K-SIAS), 편집의심척도, UCLA 외로움 척도 3판, 자기관련성 및 표적지각 검사의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변인 간 관계를 밝히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이중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불안, 외로움, 추론편향, 편집증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사회불안과 편집증의 관계에서 외로움과 추론편향이 부분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불안이 편집증으로 발전하는 경로를 이해하고 개입함에 있어 외로움과 같은 정서적 변인과 사회적 단서에 대한 추론편향과 같은 인지적 변인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제안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ual mediating role of loneliness and reasoning bias in the path between social anxiety and paranoia. A total of 297 adul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Paranoia Suspiciousness Questionnaire(PASQ), UCLA Loneliness Scale version 3, Self-relevant and Self-as-target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mediation analysis using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study variables (social anxiety, loneliness, reasoning bias, and paranoia)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paranoia was partially dual mediated by loneliness and reasoning bias.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