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외 대외경영여건의 급변으로 인해 카드사의 신용위험 증가 가능성에 주목했다. 카드사의 미래위험 인식과 대응방향을 파악한다는 측면에서 재량적 대손충당금 적립 행태를 분석했다. 최근 금융기관의 재량적 대손충당금 적립 행태를 3가지 가설의 관점에서 분석한 선행연구들의 주장과 비교 분석한다는 측면에서 학문적 기여사항이 있다. 본 연구는 이익유연화, 규제 자본에 대한 대응, 경제정책의 불확실성 대응이라는 재량적 대손충당금 적립 동기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확인했다. 첫째, 국내 카드사는 수익성 수준에 대해 정(+)의 방향으로 재량적 대손충당금을 적립했다. 이로써, 이익유연화 가설을 입증한 Tran, et al.(2020), Ozili(2021), Lubis, et al.(2021)의 주장이 지지되었다. 둘째, 국내 카드사는 자기자본비율 수준에 대해 부(-)의 방향으로 재량적 대손충당금을 적립했다. 규제 자본에 대한 대응가설이 기각됨으로써, Jutasompakorn, et al.(2021)의 주장이 기각되었다. 셋째, 국내 카드사의 대손충당금 적립 행태는 경제정책의 불확실성을 미래의 위험요인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향후 국내외 경제정책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어, 카드사의 미래위험인식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credit risk in credit card firms due to rapid changes in domestic and foreign business conditions. The discretionary loan loss provisioning behavior was analyzed in terms of identifying future risk perception and response directions of credit card firms. There is an academic contribution in that the results of current study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which analyzed them from the perspectives of three hypotheses. This study confirmed whether the motivations of accumulating discretionary loan loss provision based on income smoothing, response to regulatory capital, and response to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re met. First, Korean card firms tend to accumulate discretionary loan loss provision in a positive direction with respect to net income level. This is line with the results of Tran, et al.(2020), Ozili (2021), and Lubis, et al. (2021). Second, Korean credit card firms show that discretionary loan loss provisioning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pital ratio level. This is not line with the arguments of Jutasompakorn, et al. (2021). Third, it is found that Korean credit card firms do not recognize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s a future risk factor. As a result, credit card firms need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future risk because uncertainties in domestic and foreign economic policies are increa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