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KCI 등재
기술순환주기(TCT)와 기술수명의 관계에 대한 연구 - 한국의 국가연구개발과제 산출 특허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Cycle Time and Technology Lifespan - Focusing on the Patents from National R&D Projects in Korea -
기술경영 6권 4호 57-75(19pages)
DOI http://dx.doi.org/10.33443/tm.2021.6.4.57

본 연구는 기술순환주기(Technology Cycle Time)와 기술수명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그간 특허의 인용 정보로부터 산출되는 기술순환주기가 기술수명의 대리지표로 해석되어 널리 쓰여 왔지만, 지표 사용의 타당성을 뒷받침하는 실증근거는 부족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기술군 단위에서 특허의 활용 중단율과 기술순환주기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국내 기업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2012-2016년에 출원한 국내 특허 중 2018년 기준 권리가 유효한 등록 특허의 활용 현황에 대한 자료를 새롭게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순환주기가 큰 기술 분야일수록 활용 중단율이 작게 나타났다. 이는 기술순환주기가 큰 기술일수록 특허의 활용 기간(기술수명)이 길어, 기술순환주기가 기술수명을 대리해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기술순환주기와 기술수명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술순환주기의 지표적 유효성에 대한 실증 근거를 제시한다는 학술적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chnology cycle time and the technology lifespan. Researchers used the technology cycle time, which is calculated from the citation information of patents, as a proxy for the technology lifespan. Still, the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this interpretation has been short.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ontinuation rate of patent utilization and the technology cycle time in the unit of the technology group, this study checks the validity of using the technology cycle time as a proxy for the technology lifespan. To this end, we newly constructed a dataset comprising the patents filed in 2012-2016 by companies with support from the national R&D projects having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utilization status of registered patents with valid rights as of 201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longer the technology cycle time was, the lower the discontinuation rate was(or, the longer the period of patent utilization wa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technology cycle time correlates with the technology lifesp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