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브라질린이 B16F10 세포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MSH에 의해 유도된 B16F10 세포의흑화가 브라질린에 의해 완화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브라질린의 농도별 세포 생존률, 타이로시나제 활성도 억제, 멜라닌생성을 유도하는 mRNA의 발현 양상, 멜라닌 단백질의 생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브라질린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타이로시나제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1000, 100 ng/mL의 브라질린을 처리한 조건에서 각각 60, 23%의 타이로시나제 활성도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TRP1/TRP2/TYR/MITF 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 MSH에 의해 증가한 유전자의 발현이 브라질린에 의해 각각 59, 47, 65, 70% 감소하였다. B16F10 세포의 멜라닌생성에 브라질린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1000 ng/mL의브라질린을 처리하였을 때 37%의 멜라닌형성 억제 효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브라질린의 미백 효능을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브라질린의 미백 효능을 확인하였고, 향후 브라질린이 화장품 및 건강식품과 의약품의 개발에 응용될 수 있는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기전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whitening effect of brazilin on the B16F10 cell line. Methods: I measured the cell viability, mRNA expression,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assay, and melanin contents assay from B16F10 cells. Also, I elucidated the effects of brazilin on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YRP1)/TYRP2/ tyrosinase (TYR)/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mRNA expression, and melanin production. Results: Quantitative real-time RT-PCR showed that brazilin decreased the mRNA level of TYRP1/TYRP2/TYR/MITF and melanin production compared with that of the MSH-treated B16F10 cells. The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assay revealed that brazilin decreased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cells. Conclusion: These data show that brazilin increases whitening effects in B16F10 cells and thus brazilin is a potent ingredient for skin whitening. Future studies based on these results can determine the potential uses of brazilin in cosmetics, health care, food, or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