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신조어 접사의 형태·의미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Form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Neologism affix
장경현
DOI http://dx.doi.org/10.22845/wjoh.2019.20.1.012

최근 신조어는 주로 접사 파생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직까지 신조어를 형성하는 접사가 부사 또는 어근의 일부인지 논란이 있으나 몇 가지는 접사로 간주할 만하다. 접미사로 ‘-각, -충, -빠, -까, -돌, -몬, -탱’ 등이 있고 접두사로 ‘개-/캐-, 꿀-, 혐-, 갓-, 좆-, -핵’ 등이 있다. 이들은 본래의 단어에서 의미가 멀어졌고 다양한 어근과 결합하여 신조어를 형성한다. 이들의 의미는 주로 대상의 범주화 및 화자의 가치 평가와 감정 표현을 추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조어 접사와 결합하는 요소들도 가치 평가와 감정 표현의 대상이 되는 것이 많다. 접미사는 주로 대상의 범주화를 담당하며 접두사는 가치 평가와 감정 표현을 담당한다. 또한 접두사는 부사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으며 그 기능이 부사와 유사하다. 이러한 접사들은 표현을 단순화하며 대상을 범주화하고 호명하기 쉽게 한다. 그리고 이들은 극단적인 의미의 가치 하락을 유발하여 청소년이 감정을 표현하기 좋기 때문에 최근에 선호되는 것으로 보인다.

Recently, the neologism is mainly formed from derivation. There are suffixes such as '-kak, -chung, -ppa, -kka, -dol, -mon, -taeng' and prefixes such as 'gae-, kae-, kkul-, hyeom-, God-, joj-, haek-'. They are far removed from the original word and form neologism with various roots. The meaning of these is mainly categorization of objects, adding value evalua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of the speaker. Therefore, many elements that are combined with the affixes are also subject to evalua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The suffixes are mainly responsible for categorizing objects, and the prefixes are responsible for valuing and expressing emotions. Prefixes are also likely to be interpreted as adverbs and their functions are similar to adverbs. These affixes simplify expressions and make objects easier to categorize and do naming. And they seem to have been recently preferred because it is possible for young people to express emotions by inducing devaluation of extreme express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