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지연성 이상운동이 있는 조현병 환자의 우울증
Depression in Schizophrenia Patients with Tardive Dyskinesia
차성재, 오근, 김미숙, 박선철, 김영훈
생물정신의학 25권 4호 110-117(8pages)
DOI http://dx.doi.org/10.22857/kjbp.2018.25.4.003

지연성 이상운동(tardive dyskinesia)은 무도무정위운동(choreoathetosis) 형태의 비정상적 불수의적 운동을 의미한다.1) 조현병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의 장기간 사용은 지연성이상운동 발생과 연관된다고 알려져 있다.2)3) 항정신병약물사용기간과 정적으로 비례하여 지연성 이상운동의 발생률은선형적으로 증가한다.4) Correll과 Schenk2)는 조현병 성인 환자에서 지연성 이상운동의 발생률과 유병률을 조사한 메타분석 연구에서 정형 신병약물을 사용한 경우 지연성 이상운동의 유병률이 32.4%, 연간 발생률이 7.7%,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을 사용한 경우 유병률은 13.1%, 연간 발생률은 2.8%라고 보고하였다.4)5) 지연성 이상운동이 있는 조현병 환자는 지연성 이상운동이 없는 환자에 비해 삶의 질이 악화되며,6) 호흡기 감염, 심혈관계 질환의 이환율이 증가하고 사망률도 대략 2배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7)8) 지연성 이상운동의 병태생리를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모형들이 제안되어 왔다. 가장 널리 퍼진 가설은 도파민 수용체 과민성(dopamine receptor hypersensitivity)이다. 도파민 수용체에 길항 작용을 하는 신경이완제의 지속적인 사용은 도파민 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선조체(striatum)에서 도파민 수용체의 발현이 증가하게 되면 불수의적 운동이발생한다. 그 외에도 콜린(choline) 감소, 선조체의 감마아미노부티르산(gamma aminobutyric acid, GABA) 작용 사이신경세포의 파괴, 흥분독성(excitotoxicity) 등이 지연성 이상운동의 발생과 연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연성이상운동의 병태생리는 복잡하며 여전히 불명확하다.4) 조현병 환자에서 불안 증상은 일상생활 활동, 가족, 건강, 사회적 관계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 저하와 연관되며 우울 증상은 일상생활 활동, 재정, 건강, 사회적 관계에 대한 주관적만족도 저하와 연관된다. 특히, 우울 증상은 주관적 만족도저하와 더불어 실제적인 사회적 관계도 감소시켜 환자의 삶의 질을 악화시킨다.9) 불안 및 우울 증상과 지연성 이상운동사이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들 대부분이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사용 전에 시행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이에 관한 연구가드물게 이루어졌다.10-15) 인지기능의 장애는 조현병 환자의 사회적 고립을 일으키며삶의 질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다.16) 조현병 환자에서 인지기능 장애가 있다는 것이 이미 많은 연구들에서 밝혀졌다.17-19) 지연성 이상운동이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지연성 이상운동과 조현병 환자의 인지기능장애가정적으로 비례한다고 보고한 연구들이 있으나,20)21) 연관성이없음을 보고한 연구들도 있고,22)23) 인지기능장애가 지연성 이상운동보다 선행하는 위험인자라는 주장도 있다.24) 지연성 이상운동이 조현병의 음성 증상과 함께 나타날 경우에만 인지기능의 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지연성 이상운동 자체만으로는 인지기능의 장애가 유발된다고 보기 어렵다고 보고한 연구25)가 있는 반면에 지연성 이상운동이 음성 증상과 독립적으로 공간 작업 기억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한 연구도 있다.2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연성 이상운동이 있는 조현병 환자와 지연성 이상운동이 없는 조현병 환자의 인지기능과 우울및 불안 증상을 평가하여 그 연관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and tardive dyskinesia (TD) and reveal the association of cognitive function and TD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 : We recruited 30 schizophrenia patients with TD and 31 without TD from a national mental hospital in South Korea. To assess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and the Beck Anxiety Inventory (BAI) were conducted. Using the five-factor structure of the BDI-II and BAI, somatic anxiety, cognitive depression, somatic depression, subjective anxiety, and autonomic anxiety were assessed.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T) was performed to assess levels of cognitive functions. We compar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levels of cognitive functions, and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between schizophrenia patients with TD and without TD.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Mann Whitney U test were conducted to compare two group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relationships among the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 (AIMS), BDI-II, BAI, somatic anxiety, cognitive depression, somatic depression, subjective anxiety, and autonomic anxiety. Results : The subjects with TD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 on the cognitive depression than those without TD (t = -2.087, p = 0.04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AIMS score and the BDI-II score (r = -0.386, p = 0.035) and between the AIMS score and cognitive depression score (r = - 0.385, p = 0.035). Conclusions : Our findings suggest th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severities in TD and depression and support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hophysiology of TD and depress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