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나이아신 펩타이드 융합체의 항주름 및 피부 턴오버 개선 효과
Anti-wrinkle and Skin turnover Improvement Effects of Niacinamide-dipeptide Convergence
김가연, 이승제, 전미지, 김보민, 김근태, 강상문, 이기영, 신은진, 김상용, 김영민
DOI http://dx.doi.org/10.20402/ajbc.2017.0197

목적: 본 연구에서는 나이아신 펩타이드 융합체의 항주름 및 피부 턴오버 개선 효과를 입증하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wound healing assay, chicken choriallantoic membrane (CAM) assa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3D cell culture를 이용하여 나이아신 펩타이드 융합체의 항주름 및 피부 턴오버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나이아신 펩타이드 융합체는 HaCaT 세포에 대해 독성이 없었고, 세포 이동 능력 회복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피부 재생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나이아신 펩타이드 융합체의 혈관 신생 효능을 확인한 결과, 양성 대조군 vitamin C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름 표지 인자인 MMP-1, -2, -3, -9 의 발현양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 MMPs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피부 에너지 대사와 관련하여 Western blotting을 실시한 결과, 나이아신 펩타이드 융합체에 의해 피부 에너지 대사 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피부 턴오버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vitamin C와 유사하거나 우수한 피부 턴오버 개선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나이아신 펩타이드 융합체의 항주름 및 피부 턴오버 개선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anti-wrinkle and skin turnover improvement effects of niacinamide-dipeptide convergence (N-peptide). Methods: The following methods were employed to assess the anti-wrinkle and skin turnover improvement effects of N-peptide: 3-(4,5-Dimethylthiazol-2- 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wound healing assay, chicken chorioallantoic membrane (CAM) assa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three-dimensional (3D) cell culture. Results: The MTT assay revealed that the N-peptide does not exert a cytotoxic effect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Moreover, the scratch wound healing and CAM assays showed that the N-peptide induced migratory properties and angiogenesis, respectively, in HaCaT cells.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1, -2, -3, and -9 was measured using RT-PCR to evaluate the anti-wrinkle effect of N-peptides.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N-peptides were responsible for reducing the expression of the aforementioned MMPs. In addition, using western blotting, N-peptides were identified to increase energy metabolism activity. Furthermore, 3D cell culture analysis indicated improvement in the skin turnover rate because of the N-peptides. Conclus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N-peptides may be a source of cosmetic agents for the improvement of wrinkles and skin turnov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