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차세대 전자기록관리체계 수립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로 우리나라의 공공 전자기록 조직화 원칙과 모형을 설계하기에 앞서 설계의방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록 조직과 관련하여 기존의 기록조직 원칙에서 벗어난 건 중심 접근 방식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시작으로, 국제 기록물 기술 개념 모형에 대한 분석과 함께, 국내 전자기록에대한 조직 구조 변화의 요구를 드러낸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공공전자기록의 분류 및 기술 양상을 드러내면서 전자기록 건 중심의 네트워크형 조직 구조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마지막으로 종합하여 향후 공공 전자기록이 조직화 원칙 및 모형 설계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aimed at exploring a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conceptual model for organizing public digital records. First, it started with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item-oriented records and archival organization, then analyzed RIC-CM developed by ICA EGAD. Second, it investigated the hierarchies of the classes and descriptive information applied to public digital records, as well as showed the necessities of transition from paper-based model to digital-based one. Based on these, it studied to seek possibilities for organizing public digital records not by record groups but by item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next generation conceptual model for organizing public digital rec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