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등재
빅데이터분석 시스템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about Success Factors of Bigdata Analysis System Implementation
김정범
DOI http://dx.doi.org/10.35873/ajmahs.2017.7.12.078

최근 디지털 정보량이 증가하고, 데이터를 통한 가치창출이 생겨남에 따라, 여러 산업분야에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구축 및 전문가 수요가 급부상하고 있다. 빅데이터 시장은 향후 5년 내 9배 까지 증가되어 질 것으로 예측되어지고 있고 연평균 약 40% 성장이 예측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나 조직에서 중요한 의사결정을 할 때 빅데이터 기반 분석을 먼저 실시해야 실패할 확률이 적어지는데 빅데이터분석 시스템을 도입하는데 있어서 성공요인에 대한 실증연구가 중요하다도 본다. 빅데이터 성공요인을 기반으로, 빅데이터 시스템 프로젝트 구축에 좀 더 정확하고 구체적인 전략을 추진하여야 한다. 4차산업혁명이 도래한 현재는 명확한 데이터 분석이 의사결정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시대가 되었다. 모든 통계에서 보여 지는 것처럼, 빅데이터 분석능력이 떨어지는 기업은 경쟁에서 뒤쳐질 것으로 예측되어 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도입의 성공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도입효과를 개선하는 방안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Recently according to the growth of digital information volume and value generation through data, big data analysis system implementation and expert demand are immerging in many industry area. Big data market is expected to increase 9 times in coming 5 years with annual growth rate of about 40%. To reduce the failure rate in important decision making, big data based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in advance from the perspective view point of empirical success factors study. Based on big data project success factors, more correct and comprehensive strategy should be executed for big data system proect. With emergence of 4th industrial revoluion in recent days, concrete data analysis is the key role of decision making process. As viewed in statistical survey, companies which have lack in big data analysis capability are behind compet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out how to improve the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of big data system through the empirical survey and research focused on success factors of big data analysis implement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