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등재
자외선 조사에 의해 노화된 섬유아세포에서 브라질린의 항노화 효능
Anti-aging Effect of Brazilin in UVA-irradiated Dermal Fibroblasts
심중현
DOI http://dx.doi.org/10.20402/ajbc.2016.0036
UCI G704-SER000010442.2016.14.3.009

목적: 본 연구는 브라질린이 자외선에 의해 노화가 유도된 섬유아세포의 항노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자외선에 의해 노화가 유도된 섬유아세포에서 브라질린의 항노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브라질린의 농도별 세포 생존율, mRNA 의 발현 양상, 1형 콜라겐 및 MMP1 단백질의 생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브라질린의 항노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COL1A1, COL3A1, MMP1 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 자외선에 의해 감소한 COL1A1 과 COL3A1 유전자의 발현이 브라질린에 의해 각각 2배, 2.25배 증가하였다. 반면 자외선에 의해 증가한 MMP1 유전자의 발현은 브라질린에 의해 75% 감소하였다. 섬유아세포의 항산화효소인 SOD3 의 유전자 발현은 브라질린에 의해 23.5배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1형 콜라겐 단백질의 생성이 브라질린에 의해 23% 가량 증가하였고 MMP1은 30%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브라질린의 항노화 효능 및 항산화능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브라질린의 항노화 효능을 확인하였고, 향후브라질린이 화장품 및 건강식품과 의약품의 개발에 응용 될 수 있는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기전연구가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skin anti-aging effect of brazilin on dermal fibroblasts. Methods: To investigate anti-aging effects of brazilin on dermal fibroblasts, we confirmed cell viability, mRNA expression, and ELISA assay (collagen, type I and MMP1). Results: In this study, we elucidated the effects of brazilin on mRNA expression (COL1A1, COL3A1, MMP1, SOD1, SOD2, SOD2, and CAT) and on protein production (collagen, type I and MMP1). Quantitative Real-time RT-PCR showed that brazilin increased mRNA expression of COL1A1, COL3A1 and SOD3 genes and protein production of collagen, type I compared with UVA-treated dermal fibroblasts. Furthermore MMP1 mRNA and protein expressions were decreased by brazilin treatment. These observations revealed that brazilin increased anti-aging effects in dermal fibroblasts. Conclusion: Therefore, we identified the anti-aging effects of brazilin, and this result showed that the brazilin can be a considerable potent ingredient for skin anti-aging. Based on this, we need to study further researches about mechanisms of brazilin to be developed for cosmetics, healthcare food, and medic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