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융복합적 연구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Life Stress, Depression and Ego Resiliency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정혜윤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6.14.7.259
UCI G704-002010.2016.14.7.03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융복합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2015년 12월 5일부터 2016년 2월 8일까지 G시에 위치한 대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생활스트레스, 우울, 자아탄력성,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생활스트레스는 동아리활동과 성적수준에 차이가 있었고, 우울은 친한친구에 따라, 자아탄력성은 전공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대학생활적응은 동아리 활동 경험과, 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대학생활적응은 생활스트레스와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탄력성은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생활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으로 연구모형의 설명력은 32.9. %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생활스트레스 완화법과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융복합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investigates convergent influence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life stress, depression and ego resiliency among of nursing students. The data of life stress, depression and ego resiliency on college life adaptation was collected for the nursing students of G city from Dec. 5th 2015 to Feb. 8th 2016.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tress, college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club experience and grade level, depression according to best friend and ego resiliency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major.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life stress and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go resiliency. Life stress and ego resiliency is a significant predictor of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Their explanatory power was 32.9%. In order to help nursing college students to adapt to college life well,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the intervention to decrease the degree of life stress and to the improvement convergence program on ego resilienc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