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7
216.73.216.167
close menu
KCI 등재
ANK3 유전자 다형성과 조현병의 연관성에 대한 연합연구
Association Study of ANK3 Polymorphism and Risk of Schizophrenia
양소영, 허익수, 조은영, 최미지, 이유상, 박태성, 홍경수
생물정신의학 22권 4호 173-178(6pages)
UCI G704-001487.2015.22.4.003

조현병은 만성 정신질환으로 역학 연구에 따르면 80% 정도의 높은 유전율(heritability)1)2)을 보인다. 조현병은 멘델의유전 법칙을 따르지 않으며, 다양한 유전자가 상호작용하여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유전질환으로 알려져 있다.3) Ankyrin 3[이하 ANK3, node of Ranvier(ankyrin G)]는10q21 유전자좌에 위치한 조현병과 양극성장애의 후보 유전자이다. 이 유전자는 양극성장애를 대상으로 한 광범위 유전체 연합연구(Genome Wide Association Study, GWAS)에서 ANK3 위에 위치한 rs9804190이 질병과 연관된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이하 SNP)으로 제시되면서 처음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4) 이후 양극성장애를대상으로 한 광범위 유전체 연관연구들의 메타분석(metaanalysis) 을 통해 rs1938526과 rs10994336이 추가적으로 연관성을 보였고,5) rs10994336은 서양인 양극성장애 환자에서,6) rs1938526은 아시아인 양극성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들에서도 반복 검증되었다.7) 최근 유럽인과 아시아인 모두를 대상으로 한 광범위 유전체 연합연구를 통합하여 시행한 메타분석에서는 rs4948418과의 연관성이 새롭게 밝혀지기도 하였다.8) ANK3와 조현병 환자와의 연관성은 노르웨이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광범위 유전체 연합연구에서 ANK3 내에 위치한 유전 변이인 rs10761482가 유의한 연합을 보이면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9) 또한 중국인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rs10761482와의 연관성이 시사되었고, 같은 연구에서 이전에 양극성장애 환자에서 관찰된 바 있던 rs10994336 또한 연관성을 보였다.10) 그러나 조현병과 조울증의 유전적 감수성이공유된다는 견지에서11)12) 독일인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던 연구에서는 rs9804190, rs10994336, rs10761482 모두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아13) 추가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ANK3는 ankyrin-G를 형성하는 유전자로 이 단백질은주로 세포막 단백질을 세포 골격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뇌신경계에 많이 발현되는 아형의 경우특히 신경의 축삭돌기 기시부에서 많이 관찰되는데, 이 부위에서 이온 통로(ion channel)가 집락화하여 활동 전위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5)16) 따라서 이온 통로가 매개하는 신경세포의 흥분성에 관여하는 이 유전자는기능적 측면에서도 조현병과 같은 정신질환과 관련되어 있을가능성이 있다.5) 이러한 배경에서 ANK3는 다양한 측면에서 조현병의 중요한 후보유전자가 될 수 있는데, 아직 한국인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시행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ANK3 전체영역에 걸쳐 표지자(marker)가 되는 SNP(tag SNP)를 선정하여 유전자의 다형성과 조현병의 발병 위험과의 연관성을 한국인을 대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Objectives:Previous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have indic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nkyrin 3 (ANK3) and the vulnerability of schizophrenia.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covering the whole ANK3 locus and schizophrenia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The study subjects were 582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502 healthy controls. Thirty-eight tag SNPs on ANK3 and five additional SNPs showing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chizophrenia in previous studies were genotyped. Results:Three (rs10994181, rs16914791, rs1938526) of 43 SNPs showed a nominally significant association (p < 0.05) with at least one genotype model. But none of these associations remained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multiple testing errors with Bonferroni’s correction. Conclusions:We could not identify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NK3 and schizophrenia in the Korean population. However, three SNPs showing an association signal with nominal significance need to be investigated in future studies with higher statistical power and more specific phenotype crossing the current diagnostic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