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2013년 한국 힙합씬(scene)을 뜨겁게 달군 ‘컨트롤대란’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미국 래퍼 켄드릭 라마(Kendrick Lamar)가 처음 시작한 컨트롤대란은 미국에서는 힙합씬의 반성과 발전이라는 ‘공적 디스’로 마무리된 데 반해 한국에서는 개인 신상을 공격하고 계약 문제를 논하는 ‘사적 디스’의 도구로 활용되었다. 우리는 바로 이 차이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부르디외의 장 이론(field theory)을 활용하여 한미 컨트롤대란에 발표된 전곡의가사를 분석하였다. 부르디외의 이론에 의하면, 힙합장은 테크닉, 콘텐츠, 제스처적 차원의 3요소로 구성된 힙합성이 자율적으로 작동하고 장의 행위자들이이를 쟁취하고자 투쟁을 벌이는 실천적 공간이다. 우리는 한국과 미국에서 각각 진행된 컨트롤대란이 서로 다른 결과를 낳은 이유를 힙합성이 작동하는 방식이두 힙합장에서 다르게 구현되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미국의 힙합장은 콘텐츠적 힙합성의 한 요소인 ‘디스’를 놀이로 인정하는 문화가 자리하고 있다면, 한국의 힙합장은 테크닉, 콘텐츠적 힙합성에 대한 합의가 부재한 상황에서 제스처적 힙합성만이 부각된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디스’를 놀이로 여기지 않고 그것에 윤리적 잣대를 들이 댄 한국의 컨트롤대란은 래퍼들의 성토대회로, ‘사적 디스’가 난무하는 공간으로 전락한 것이다.
This research is a case-study about one sensational episode in Korean hip-hop scene in 2013, ‘control war’. Initiated by American rapper Kendrick Lamar, control war in the United States ceased with encouraging the hip-hip scene to reflect on the past and develop further, covering ‘public issues’, while Korean control war was indeed a medium to discuss about some ‘personal issues’ including contracts and personal affairs between rappers. This difference between two hip-hop scenes was a motivation for this research. To explain the difference, we analyzed lyrics of all songs released under the control war with Bourdieu’s field theory. According to Bourdieu’s theory, hip-hop field contains ‘hiphopness’, composed of technic, contents, and gesture parts, through which the field, a practical space, operates voluntarily with actors fighting over to acquire hiphopness. We concluded that the distinction was made because hiphopness in two hip-hop fields are created, executed, and operated by substantially different mechanisms. In the United States, ‘diss’, the core concept of technic hiphopness, is understood as one key part of play, however, only gesture type of hiphopness stands out strongly without an agreement on either technic or content-wise hiphopness. Thus, Korean control war ended up a big rally among rappers, a space for a full of personal diss, due to taking moral standard rather than understanding diss as 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