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지난번 연구 후속으로 『두율분류』 卷地에 수록된 71수의 오언율시를 『두시언해』의 것과 비교하여 『두시언해』 언해자들이 대구법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난번 연구에서는 卷天에 수록된 56수의 칠언율시를 비교 대상으로 삼았다면, 이번 연구에서는 71수의 오언율시에 대하여 비교를 진행하였다. 결과, 대구법 실현 양상이 지난번 연구와 동일하게 나타난 것이 있는가 하면 달리 실현된 것들도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럼 아래에는 본문에서 논의한 결과를 간단히 종합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체하기로 한다.
첫째, 『두시언해』와 『두율분류』 卷地 양자가 모두 정연한 경우는 141개이다. 이 가운데서 정연하게 대구를 이룬 경우는 81개이고 부분적으로 정연한 경우는 60개이다. 卷地의 ‘정연한 경우’와 ‘부분적으로 정연한 경우’는 각각 卷天의 이 두 경우를 합친 것보다도 훨씬 많다. 이는 우선 卷天은 칠언율시를 언해한 데 반하여 卷地는 오언율시를 언해한 데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두시 원문의 대구가 卷天보다 卷地가 더 정연한 것도 원인 중의 하나이다. ‘정연한 경우’에서 대구법은 대부분 3.4행과 5.6행에 집중되어 있고 19개가 1.2행과 7.8행에 있다. 이는 卷天과는 다른 양상이다. 卷天의 경우, ‘정연한 경우’는 전부 3.4행과 5.6행에 집중되었다. 이 역시 卷天은 칠언율시인 관계로 3.4행과 5.6행을 제외한 다른 위치에서 대구법이 나타나기 어려웠을 것이고 卷地는 오언율시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쉬웠을 것이다. 이외에도 일부 단어의 경우, 『두율분류』에서 한자어와 고유어, 이 두 가지 형태가 거의 비슷한 빈도로 나타나고 있다. 이를테면 ‘江’은 『두시언해』에서 어김없이 ‘ㄱㆍㄹㆍㅁ’으로 나타났는데, 『두율분류』에서는 ‘江’과 ‘강’ 두 가지 형태가 공존하고 나타나는 차수도 거의 비슷하다. 구체적으로 보조사 ‘은’이 뒤에 오는 경우와 뒤에 오는 명사를 수식할 경우에는 대부분 ‘江’으로 나타나고 주격조사 ‘이’가 뒤에 올 경우에는 대부분 ‘강’으로 나타난다.
둘째, 한 쪽이 더 정연한 경우에서 『두시언해』가 더 정연한 경우는 18개이고 『두율분류』가 더 정연한 경우는 35개이다. 『두시언해』가 더 정연한 경우에서 양자의 대구법의 정연함 정도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반대로, 『두율분류』가 더 정연한 경우는, 『두시언해』가 더 정연한 경우에 비해, 대구법의 정연함의 차이가 꽤 크다. 『두율분류』에서는 『두시언해』의 ‘나조ㅎ’를 ‘져몰다’, ‘늦다’와 같은 형용사로 바꿈으로써 대응되는 단어들과 품사까지도 일치하게 되어 보다 정연한 대구법을 이루었다. 구체적으로는 두시 원문의 ‘夕’에 해당되는 것은 ‘져역’으로, ‘暮’에 해당되는 것은 ‘져몰다’로, ‘晩’에 해당되는 것은 ‘늦다’로 바꾸었다. 뿐만 아니라 두시 원문에 가깝게 번역하기 위하여 『두시언해』의 어순을 바꿔 놓았고 이렇게 되어 대구법도 더 정연해 보이는 듯한 느낌을 주었다.
셋째, 한 쪽에만 이루어진 경우에서, 『두시언해』에만 이루어진 경우는 다섯 개뿐이고 『두율분류』에만 이루어진 경우는 이보다 훨씬 많은 21개이다. 전자에서 절반은 두시 원문에도 대구법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서 번역 과정에서 대구법이 생겨났다. 나머지 세 개는 『두율분류』에서도 마땅히 대구가 나타나야 하지만, 실수로 단어를 빠뜨리거나 보다 두시 원문에 가깝게 번역하려고 너무 글자의 의미에 치중하다보니 대구법이 파괴된 것이다. 『두율분류』에만 이루어진 경우를 보면, 『두시언해』에서 정상적인 어순을 바꾸거나 조사, 어미, 단어를 달리 번역함으로써 대구법을 기피하였다. 『두율분류』에만 대구가 이루어진 21개 가운데서 두시 원문에도 대구가 이루어진 경우는 모두 14개로서 전체의 2/3를 차지하는데 이는 『두시언해』에서 응당 대구를 이루어야 하지만 대구를 기피한 경우이기도 하다.
이는 『두율분류』 卷地에 수록된 71편 104수의 오언율시를 대상으로 얻어낸 결론이다. 『두율분류』 天, 地, 人 세 책을 살펴보면, 卷天만이 칠언율시이고 나머지는 모두 오언율시이다. 게다가 卷天에는 56편 75수가 수록되어 있는 바, 세 권 중 수록된 시가 제일 적다. 이번 연구에서 나타났던 양상들이 같은 오언율시를 번역한 卷人에서도 나타나는지 다음번 연구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attitude of translators of Dusieonhae to antithesis rhetoric by comparing all the seventy-one poems from Duyulbunlyu Vol.Ⅱ with poems from Dusieonhae. Conclusion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ntitheses used in Dusieonhae and Duyulbunlyu Vol.Ⅱ is one hundred and forty one, among which there are eighty one in completely neat antitheses and sixty in partially neat antitheses. This number is more than that used in Duyulbunlyu Vol.Ⅰ. Those antitheses are mainly found in the third and fourth lines as well as fifth and sixth lines from the poems. There are more Chinese character words used in Duyulbunlyu Vol.Ⅱ instead of Hangul words used in Dusieonhae. But the opposite case happens occasionally. In Duyulbunlyu Vol.Ⅱ, the Chinese character words used in each line are in accordance with that used in the next line, while Hangul words used in each line are in accordance with that used in the next line. But this is barely found in Dusieonhae. Although some contents from Dusieonhae have been modified in Duyulbunlyu Vol.Ⅱ, those non-neat antitheses in Dusieonhae still repeat in Duyulbunlyu Vol.Ⅱ. In other words, Duyulbunlyu Vol.Ⅱjust focused on the words modification, but did not quite improve the non-neat antitheses.
Second, according to translation for the same poem, neat antitheses are much more found in Duyulbunlyu Vol.Ⅱthan that in Dusieonhae. To be specific, the number of neat antitheses found in Dusieonhae is only eighteen, but that found in Duyulbunlyu Vol.Ⅱ is thirty five.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uniformity between them, but as to neat antitheses, they have major differences. Regarding antitheses from Dusieonhae, it’s often found that certain object is translated into two words in one poem line, but in the next line, it becomes one word. But in Duyulbunlyu Vol.Ⅱ, those antitheses are very neat and rigorous. On this point, Dusieonhae seems to disregard the importance of neat antitheses, while in Duyulbunlyu Vol.Ⅱ, translators try to pursue neat antitheses by deleting some contents in Dusieonhae. Moreover, in Duyulbunlyu Vol.Ⅱ, translators adjusted some word order in order to make those antitheses neater.
Third, comparing the translation with original poems of Du fu’s, it happens that antithesis is used in one side, while not used in the other side. Such situation happened five times in Dusieonhae, which did twenty-one times in Duyulbunlyu Vol.Ⅱ. To be specific, the former appears in two situations. First, the lines in original poems didn’t use antithesis, but it used in translations. This happened two times. Second, there are antitheses used in original poems, but not in Duyulbunlyu Vol.Ⅱ.
In order to make the translation more consistent with original poems, it destroyed some antitheses in Duyulbunlyu Vol.Ⅱ. In this case, the antitheses can only be found in Dusieonhae. But in latter situation, it changed the word order, auxiliary word and suffix from original poems to avoid antitheses in Dusieonhae. In this case, those antitheses only appear in Duyulbunlyu Vol.Ⅱ. This happened a lot in Dusieonhae from which it seems to avoid antitheses in Dusieonhae.
This conclusion was made by comparing all the seventy-one poems from Duyulbunlyu Vol.Ⅱ with poems from Dusieonhae. It’s a little similar to previous comparison between Duyulbunlyu Vol.Ⅰand Dusieonhae. This paper doesn’t involve other issues or aspects regarding antithesis in Dusieonhae, which I will try to expound in next comparison between Duyulbunlyu Vol.Ⅲ and Dusieonh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