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30
216.73.216.130
close menu
KCI 등재
수면시간과 고혈압과의 관계
The 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and Hypertension in Adults in Korea
최수정, 박은옥
UCI G704-001517.2013.13.4.001

연구배경: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의 수면시간과 고혈압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0년 제5차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30세 이상의 성인 5,450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이차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건강조사 설문지와 혈압, 신체계측 자료 등이다. SAS 9.2를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은28.9%로, 6시간 미만 수면 집단이 8시간 수면 집단에 비해고혈압 유병 위험 교차비(odds ratio [OR])가 2.16 (95%confidence interval [95% CI]=1.73-2.69)으로 높게 나타났고,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행태 등을 보정하여도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OR=1.32, 95%CI=1.03-1.69). 결론: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에게 6시간 미만의 짧은수면시간이 고혈압에 독립적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고혈압 예방과 관리를 위해 금연, 체중조절, 저염식이, 운동 등의 생활습관 개선과함께 적절한 수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hypertension in Korean adults. Methods: A secondar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from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Examination Survey conducted in 2010. Of the respondents, 5,450 adults over 30 years were included in this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using SAS 9.2. Results: Among Korean adults,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was 28.9% and the mean duration of sleep pernight was 6.8 hours. The unadjusted odds ratio (OR) for hypertension was 2.16 (95% confidence interval [95%CI]=1.73-2.69) among adults who slept over 6 hours per night compared to those who slept 8 hours per night. After adjusting for risk factors of hypertension including age, gender,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behaviors(smoking, obesity, alcohol intake,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the OR remained significant (OR=1.32,95% CI=1.03-1.69). Conclusion: Short sleep duration should be considered a risk factor for hypertension. Interventions for adequatesleep duration could be added to other lifestyle changes (smoking cessation, weight control, low sodiumdiet, physical activities, and etc.) for preventing hypertens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