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환경 기술은 2009년 1월 정부의 녹색기술 연구개발 종합대책에서 선정한 27대 중점육성기술의하나(유해성물질 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에 해당되고, ‘저탄소 녹색성장(Low carbon, Green growth)’의 대표적 분야인 Green building, Green home, Green car와 밀접하게 관련되며, 건강하고 안전한 실내환경의 구현을 통하여 생활환경의 질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IT, NT, BT를 융합한 환경기술(ET)을 기반으로 저탄소 고품질 실내환경 신산업을창출하여 세계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녹색성장의주축이 되는 기술 분야이다.
열악한 실내공기 질에 의해 환경성질환인 천식,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의 환자가 증가하는추세이다(Table 1). 2002년 대비 2006년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35.6%, 천식 환자는 16.6% 증가하였고, 특히 저항력이 낮은 9세 이하인 아동의 진료비율은 천식의 경우 5명 중 1명(19.6%), 아토피 피부염의 경우9명 중 1명(11.4%), 알레르기 비염의 경우 6명 중 1명(16.3%)으로 높다. 실내공기질의 사회적 중요성이크게 부각됨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2003년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관리법‘을 제정하여 실내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인 기틀을 마련하였고, 2004년 ‘1차 실내 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실내 환경 개선협의회’를 구성하여 범정부 차원의 실내 공기질 관리체계를 구축하였으며(Table 2) 2009년에는 환경성 질환 증가 및 기후변화문제대응 등 그간 변화된 국내?외 여건19.응하고자 ‘2차실내 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추진하였다. 환경부는 또한 2008년에는 4계 민감군 시설19.하여 진균의 오염분포와 종을 조사하였고 2009년에는 전국적으로 17개 다중이용시설19.하여 실내환경19있어서 세균염의진균의 오염도를 파악하면서 그 유해성을 평가하고 있다. 실내 오염 물질 중 현재 바이오에어로졸(Bioaerosol),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미세먼지(나노입자)가 주된 연구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바이오에어로졸에 대한 항균 기술 내용을 다룰 것이다.
The essay compares different artistic strategies used among contemporary Japanese art critics, artists, and curators in the global artistic environment, particularly in light of the two major figures of Takashi Murakami(村上 隆) and Mako Aida(?田 誠) related to “The 1965 Group. ” Murakami utilized elements of otaku, part of Japanese subculture, to represent what he called the generalized perception of the postwar Japanese culture under the rubric of “Superflat” while Aida used otaku-influenced elements in his oeuvre as the means of revealing conflicting and critical voices within much troubling postwar Japanese society. Upon contrasting Murakami's and Aida's different artistic strategies and purposes of appropriating images and themes from postwar Japanese manga and animation, the essay also aims to point out novel tasks and problems that the critics for arts in non-western contexts should deal with to deconstruct the power structures between what is conceived as the “local” vs.
“global” perspec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