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학교부적응 학생의 대안학교 재적응교육 프로그램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on Education Program Experience for Readaptation, in Alternative School, of Students Maladjusted in School
최해룡, 김성회
상담학연구 13권 3호 1407-1423(17pages)
DOI http://dx.doi.org/10.15703/kjc.13.3.201206.1407
UCI G704-001281.2012.13.3.017

최근 학교부적응 학생들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이들의 적응력 향상을 위해 여러 형태의 재적응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교부적응 학생들이 학교적응을 위한 재적응 교육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에 대해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참가학생들의 재적응 프로그램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년간 대안학교의 재적응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험보고서와 소감문, 면접, 관찰 등을 통해 프로그램 경험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Stake의 본질적 사례연구와 질적 분석의 방법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나타난 주제는 4가지 영역으로 ① 편안함 - 학교에서와는 달리 자신이 있는 그대로 인정받고 이해받는 느낌, ② 재미 - 학교에서 맛볼 수 없는 텃밭 가꾸기, 등산, 역사 문화탐방, 인턴십 등 체험위주의 프로그램이 흥미를 유발하고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냄, ③ 이해 - 상담, 토론, 봉사 등의 활동을 통해 피상적이고 이기적인 삶에서 자신과 타인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됨, ④ 변화 - 인내심, 책임감, 자신감, 집중력, 통제력 등이 생기고 점점 긍정적이고 좋은 모습으로 바뀌어 짐 등이었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재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축적된 결과는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방안과 교육 및 상담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tudents maladjusted in school have increased recently, diverse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maladjusted in school have been provided to improve adjustment for th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essence of education program experience of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cases about what they were affected by education program experience for readaptation. I collected materials which were reports and opinions written by the students after they completed education program for readaptation and I had interviews with them and observation during program. I analyzed them by stake's case study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the result, Themes revealed by 4 sections, 1. comfortable-feeling, Which are accepted and understood on themselves unlikely formal school, 2. interesting-activity programs, which are gardening, clime mountains, history trips and internship and never experienced in formal school, offer opportunities to do self directed participation and have interesting for the students, 3. understanding- shallow and selfish life of the student had been changed to having care about themselves and others, 4. change-They improved tolerance, responsibility, confidence, concentration and control and had optimistic views. Though this case study research I had discussion on major factors affecting readaptation in school.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research can be utilized as primary materials for further studying for a scheme for definite supports and counseling programs on adjustment improvement of students maladjusted in schoo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