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등재
The Cyprian'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sacerdos”
치프리아누스의 Sacerdos 개념에 대한 이해
변종찬
가톨릭신학 권 17호 11-46(36pages)
DOI http://dx.doi.org/10.36515/ctak..17.201012.11
UCI G704-002019.2010..17.001

그리스도교 공동체 안에서 교계제도가 온전히 형성될 때까지 오랜 시간이 요구되었다. 이 과정에서 episcopus, presbyter, diaconus 등의 성서상의 단어들이 주교와 신부 그리고 부제를 가리키는 용어로 자리하였다. 특기할 것은 여기에 sacerdos라는 단어도 삽입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통에 치프리아누스도 자리하고 있다. 그는 "교회는 주교들 위에 세워지며, 교회의 모든 행위는 이 동일한 공동체 지도자들을 통해 통치된다.“고 확언한다. 그리고 이러한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수장인 주교의 직무를 제시하기 위해 카르타고의 주교는 여러 표현을 사용한다. 곧 주교는 지도자(praepositus)요, 목자(pastor)이며, 통치자(gubernator)이고, 제사장(antistes)이며, 사제(sacerdos)이고, 통솔자(rector)이다. 통치자로서 주교는 무엇보다 신앙의 수호자요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교도권과 통치권은 주교의 고유한 교좌(cathedra)가 지니는 권위로 표현된다. 또한 통치자로서 주교는 전례 집전자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치프리아누스는 이 점을 강조하기 위해 episcopus와 sacerdos를 동의어로 제시한다. 무엇보다 sacerdos는 ‘미사와 기도를 통해 사람들에게 하느님의 은총을 전하는 도구’이다. 달리 말하면, sacerdos는 ‘거룩한 것을 행할 권한을 갖고 있는 사람’이기에 성체성사를 봉헌할 수 있는 사람인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sacerdos와 희생 제사를 봉헌하는 제단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주교의 교도권과 통치권이 고유한 하나의 교좌(cathedra)를 통해 표현되듯, 희생 제사를 바치는 주교의 역할 역시 하나의 제단(altar)을 통해 나타난다. 이토록 verus sacerdos는 하나의 교좌와 하나의 제단을 소유한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여기에 치프리아누스는 ‘합법적 주교들 상호간의 친교’라는 요소를 첨가한다. 이 세 조건은 왜 치프리아누스가 주교에게만 sacerdos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는지 분명하게 제시한다. 공동체의 지도자요 성체성사의 집전자로서 그리스도를 대리하는 치프리아누스의 sacerdos의 개념은 어디에서 온 것인가? 무엇보다 치프리아누스가 늘 자신의 스승이라고 칭하는 테르툴리아누스를 꼽을 수 있다. 하지만 테르툴리아누스는 몬타누스주의에 빠지면서 교계제도와 사제직에 대해 다른 입장을 취하게 된다. 그렇기에 테르툴리아누스는 치프리아누스의 sacerdos 개념에 대해 제한적 영향력만을 행사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우리는 치프리아누스의 또 다른 원천으로 히폴리투스(Hippolytus)의 저서라고 알려져 있는「사도 전승」(Traditio apostolica)을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 작품이 3세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보편교회를 위한 가장 오래된 전례 문헌집이기 때문이다. 또한 아프리카 교회가 교계제도와 교회의 가르침 등에 있어 로마 교회에 종속적이었음을 전제한다면,「사도 전승」이 치프리아누스에게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두 원천을 통해 치프리아누스는 sacerdos라는 명칭을 통해 episcopus의 역할을 공동체의 지도자요 따라서 성찬의 주례자로서 그리스도를 대리하는 사람으로 동시에 제시한다.

It took a long time for the whole hierarchy to be made up in Christian community. In this process Biblical vocabularies were selected. For example, “episcopus” for a bishop, “presbyter” for a priest, “diaconus” for a deacon. And it should be especially noted that “sacerdos” were also added for a priest. Cyprian is located in such a tradition. He asserted that Ecclesia is founded on the bishops, and all the acts of Ecclesia are ruled by the bishops, the very leaders of this community. Cyprian, the bishop of the Church in Carthage, expressed offices of a bishop who is a governor of Christian community as variable names such as praepositus(a leader), pastor(a shepherd), gubernator(a helmsman), antistes(a priest), sacerdos(a bishop) and rector(a ruler). Especially Cyprian employed the term “sacerdos” only for a bishop. This study focuses much attention on his usage of this term ‘sacerdos’, and provides three reasons why he employed the term only for a bishop. Firstly, a bishop as a governor must be the guardian and the teacher of faith. The authority of his own cathedra is a symbol of his governorship and magisterium. Presiding at a liturgy is another significant role of a bishop. Because of these things, Cyprian suggested that “sacerdos” was a synonym for episcopus. The second reason is that “sacerdos” is ‘an instrument transferring God’s blessing to people through Mass and prayer’. In other words, as “sacerdos” is ‘the one qualified to do holy things’, he is able to offer the Eucharist. In this sense “sacerdos” is inseparable from an altar where we offer Sacrifice of Christ. As a cathedra shows magisterium and governorship of a bishop, so does an altar the bishop’s role of offering Sacrifice of Christ. Having only one cathedra and only one altar characterizes verus sacerdos. Thirdly, “Communion between legitimate bishops” was added. Where does the concept “sacerdos” of Cyprian, which implies the Vicar of Christ as a leader of Christian community and an executor of the sacraments, come from? We might think that concept was derived from Tertullian whom Cyprian always called his master. Since Tertullian, however, fell into the Montanism, each of them, Tertullian and Cyprian, took his own view of hierarchy and priest’s ministry. Therefore Tertullian had a restricted influence on the term “sacerdos” of Cyprian. In the meantime, “Traditio apostolica” known as Hippolytus’ writing could be thought as another source of Cyprian because this work is the oldest collection of liturgical documents for the Catholic Church back in the early 3rd century. Moreover as we consider the Church in Africa was subject to the Church in Rome in terms of the hierarchy and dogma, we can’t exclude the possibility of influence of “Traditio apostolica” on Cyprian. The term “sacerdos” of Cyprian that had been formed in these two sources presents the role of “episcopus” as the leader of the community and the Vicar of Christ presiding at the Euchari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