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Cohen 등(1983)이 개발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를 번안하여 2차에 걸친 연구를 통해 타당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수도권 지역 4년제 6개 대학 대학생들(N = 312)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공존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는 부정적 지각과 긍정적 지각 등 2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요인 모두 우울, 불안, 부정적 정서와 정적 상관을, 긍정적 정서와 부적 상관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전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들(N = 368)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타당도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요인 구조가 전국단위 표집에서도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 불안, 부정적 정서, 긍정적 정서와의 관계는 1차 연구와 비슷하게 나타냈다. 또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는 사회적 지지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스트레스 관련 선행연구와 비교하였고, 척도의 활용 방안 및 제한점을 논하였다.
To get a culturally validated version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 Cohen et al., 1983), the authors translated the PSS into Korean and conducte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In study 1,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ith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N = 312) revealed that the two-factor structure (negative perception and positive perception) best fit the data. Also,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PSS subscales and depression, anxiety, and negative affect, and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PSS scales and positive affect. In study 2,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ith a nation-wide sample of college students (N = 368) revealed that the two-factor solution was adequate. The negative perception subscale correlated more with depression, anxiety, and negative affect, while the positive perception scale correlated with positive affect. The two sub-scale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Implications for usage of the PS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