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공동체적인 관계성에 기반을 둔 사회적 존재이다. 이러한 인간의 성격은 그리스도교 인간관 안에서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의 성격과 긴밀한 연관 안에 있다. 성부, 성자, 성령으로서 자신을 계시하신 한분이신 하느님은, 삼위 상호간의 사랑의 관계로써 실현되는 공동체이다. 즉, 하느님은 자신을 온전히 내어주는 사랑에 바탕을 둔 친교적인 단일성 또는 관계의 단일성의 성격을 지닌 공동체이다. 이러한 하느님의 성격은 당신의 모습으로 창조한 인간의 모습을 결정하는 중요한 근거로서 작용하게 된다. 하느님의 모습에 따라 창조된 인간은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의 모상(Imago Dei Trinitatis)’으로서 현실 안에서 삼위일체이신 하느님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다른 이들과의 관계를 통하여 사랑의 공동체를 구현하는 것이야 말로 인간이 부여받은 중요한 본성이자 또한 이루어야 할 소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간의 공동체적인 성격은 그리스도와 긴밀한 관계 안에 있다. 그리스도는 하느님의 계획 즉, 공동체적인 구원 계획의 성취자이며, 인간의 측면에서는 공동체적인 관계의 모범이시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의 행적과 가르침은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으로 대변되는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의 사랑을 보여주신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그리스도의 파스카 사건은 인류를 향한 하느님의 사랑을 결정적으로 드러내 주셨을 뿐 아니라, 인간이 하느님과의 일치와 다른 이들과의 일치를 가능하게 하는 사랑의 성령이 증여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는 사건이었다. 그리고 창조 때부터 존재하고 있었던 그리스도와 인간의 존재론적인 연관성은 ‘그리스도의 모상(Imago Christi)’으로서 인간의 공동체적인 본성과 소명을 밝혀주고 있다.
특별히 가톨릭 교회는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의 성격과 함께 인간들 상호간의 공동체적인 관계성을 ‘친교(communio)'라는 개념을 통하여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친교의 의미 안에는 인간이 성령 안에서 그리스도를 통하여 삼위일체이신 하느님과 이루는 친교의 수직적인 차원과, 같은 믿음과 같은 성령 안에서 인간들 서로간의 친교를 의미하는 수평적인 차원의 성격이 긴밀하게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친교의 성격은 성체성사를 통해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성체성사는 교회 공동체적인 친교의 집약적인 표현이며 교회 생활의 원천이자 정점이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의 몸을 함께 나누는 행위 안에는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일치와 결속을 이루게 하는 사회적인 성격, 곧 수평적인 차원이 존재하고 있으며, 또한 그리스도의 파스카 사건을 통하여 이루어진 성체성사의 희생제사적인 성격은 성령 안에서 삼위일체이신 하느님과 이루는 친교의 수직적인 차원을 잘 보여주고 있다.
Humans are social beings living based on community relationship. This characteristic is closely related to the tribune God's spirit of Christianity. The unique God divined himself as God the father, saint, holy spirit is a community bonded with love between the tribunes. In other word, the God is a community having communion or relational unity with sacrificial love. The characteristic is crucially important in forming human beings image. An ultimate goal of the creative human beings ‘Triune God's Image(Imago Dei Trinitatis)’ are to realize the community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s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God. The goal is their calling and what their nature has been granted for.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eings commun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Christ. The Christ is a community savior being a model of human society planned by the God. Achievements and teachings of the Christ are all to show the love of the God who is the trinity indicated by the love for God and neighbor. The event of Christ's Passover showed the love of the God for the mankind specifically and caused to be the holy spirit of the love that makes humans to unite with others and the God. The exis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hrist and mankind which has been existed from the Creation indicates the human beings nature and calling as Christ's Image, Imago Christi.
Especially catholic church expresses the community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with personality of the God using the word communion(communio). The word implies perpendicular communion that human beings have with the God in a holy spirit as well as a horizontal communion between human beings with the same belief and holy spirit.
The characteristic of communion is specifically indicated by the Eucharist. The Eucharist is an integrated expression of community communion being also the source of the church. Ritual service sharing the Christ body and blood shows the horizontal social characteristic for the unity and bondage of the Christ community and the event of Christ's Passover shown the sacrificial Eucharist shows a vertical communion with the tribune God in the holy spir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