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 적합형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지원 기능의 재설계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행 노인 취업 및 일자리 창출 정부지원 기능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즉 노인 일자리 창출 관련 정부지원 기능의 효과성, 부처별 지원기능의 적합성, 통합 대상 기능, 타 부처 이관 대상 기능, 확대 대상 기능, 그리고 축소 대상 기능 등으로 분류하여 중점 분석하였다. 더불어 선진국 관련사례 연구를 위해 스웨덴, 영국, 미국, 일본의 노인 취업 및 일자리 관련 지원기능들을 벤치마킹 차원에서 심층?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현행 우리나라 노인 일자리 창출 관련 정부지원 기능체계의 효율화 차원에서 정부부처별 기능분담 재조정 및 지원기능의 재설계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esign the governmental support functions for creating job of the elderly. To analyze governmental functions for creating job and employment of the elderly, this study uses some evaluative perspectives based on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al function, the suitability for its supportive function, the necessity of governmental function's redesign like integration, enlargement, reducement, and transfer the governmental support's functions to other ministries. In addition, this research analyzes those policies related to the creating job of the elderly in comparative studies through advanced countries' such as Sweden,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s result, this study provides some alternatives for readjustment of governmental support function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for creating job of the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