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방향지시 비순환성 그래프(DAG)이론을 이용하여 LIBOR 1, 3, 6, 9, 12개월물간 동시적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1990년대(1991년 6월 6일~2000년 12월 31일)와 2000년대(2001년 1월 1일~2008년 12월 31일)의 두 시기로 구분하여 일별 데이터를 사용한 오차수정모형과 DAG 방법을 접목하여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두 시기에서 공통적으로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를 인과하는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기존의 통화정책 전달경로 문헌에서 주장되는 단기에서 장기로의 영향과는 반대로 금융시장이 발달한 선진국에서는 장기금리가 향후 경제상황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기대를 반영하여 먼저 움직이고 정책금리는 시장금리에 순응하여 변화하게 되는 내생적 통화정책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Applying a multivariate error correction model of five LIBORs by maturity, we have studied contemporaneous causality among the interest rates using directed acyclic graph. Empirical results from DAGs over two periods from Jun. 6, 1991 to Dec. 31, 2000 and Jan. 1, 2001 to Dec. 31, 2008 suggest a common unidirectional causal relationship running from long-term rate to short-term rate of LIBOR in contemporaneous time.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view of endogenous monetary policy that, in the developed countries with the advanced financial market, the long-term interests move first reflecting the expectations of economic agents about future economic situation and then the short-term interests that are closely related with monetary policy move reflecting the market's sit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