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도행전에 등장하는 베드로의 다섯 연설 중, 그 마지막에 해당되는 코르넬리우스의 집에서 행해진 연설(10,34-43)을 주석하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문학적이고 내용적인 관점을 통해 사도 10,34-43을 하나의 균열없는 문학단위로 설정하고, 이러한 조직적 체계성이 연설문 자체가 등장시키고 있는 인물적 연계를 통해서도 확인됨을 증명하고 있다. ‘나→당신들→우리들→예언자들’로 이어지는 연계성은 이들이 언제나 ‘하느님-예수’를 언급하는 구조를 통해 전개되는 일관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또한 사도 10,34-43이 가장 핵심적으로 피력한 주제는 ‘하느님의 보편적 구원’임이 드러나는데, 이 주제를 수미(首尾)상관적 기법(inclusio)으로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 연설문 전반에 ‘전부’, ‘모두’를 의미하는 단어들이 자주 발견된다는 점 등을 통해 확인된다. 또한 U. Wilkens가 제시한, 사도행전에 등장하는 연설문들이 드러내는 구조가 10,34-43의 본문에도 상당히 잘 상응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물론 10,34-43만의 독특한 점도 발견되는데, 이방인들을 위한 교리교육적 성격이 강하게 부각되어 있다는 점, 이방인들을 위한 연설인 만큼 하느님의 보편적 구원의지가 강조되고 있다는 점, 예수의 지상생활에 대한 선포가 다소 자세히 설명되고 있다는 점 등이다. 이본문이 핵심 주제로 부각시키고 있는 내용은 다음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1. 하느님의 보편성: ‘하느님의 보편성’이라는 주제는 이방인들과 유다인들 양측을 모두에게 해당되는 이중적 기능을 가진다. 이방인들에게뿐 아니라, 유다인들에게도, 베드로 자신이 깨달았듯이 더 이상 자신들만이 선택된 민족이라는 편협한 의식을 벗어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하느님의 보편성은 예수의 모습 안에서 드러나는데, 그러므로 베드로는 예수를 “만민의 주님”이라고 선포한다.
2. 깨달음 → 증언: 이러한 메시지는 ‘나’의 깨달음을 통해, 그리고 ‘당신들’의 깨달음을 통해 드러난다. 그러나 이러한 ‘나와 당신들’의 이해만으로 구원이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수라는 인물, 그분의 지상적 삶과 부활을 ‘우리는’ 증언해야한다. 그 이유는 하느님께서 예수를 통해서 활동하시고 그를 모든 이들의 주님으로 삼으셨으며, 무엇보다도 그분을 모든 이들의 심판관으로 임명하셨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증언은 이미 ‘예언자들’에 의해서도 실행된 바 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고찰된 각각의 단어와 표현들은 결론적으로 이 본문이 루카에 의해 작성된 것임을 산출시킨다. 사용된 어휘들과, 문체, 그리고 신학적 주제들이 분명히 루카적 노선임을 확인시켜 주기 때문이다.
This present study annotates the last of the Peter’s five speeches in Acts. which takes place in Cornelius’ house (Acts. 10,34-43). From a standpoint of literature and content, it establishes Acts. 10,34-43 as one single literary unit without break. It also proves that this organized system is confirmed by a connection between characters whom the speech introduces. The connection, ‘I ? you ? we - prophets’ shows certain consistency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eveloped through a structure of always having reference to ‘God - Jesus’. It is apparent that the core theme of Acts. 10,34-43 is ‘God’s intention for universal salvation’. This could be proved by several facts, like that of the theme being brought out by a technique correlating beginning and end(inclusio) and, expressions such as ‘all’ and ‘everyone’, being often found in the over-all of the speech. Furthermore the study confirms the fact that the structure of different speeches in Acts of Apostles, which U. Wilkens presented, corresponds considerably well with 10,34-43 text. Naturally peculiar characteristics of 10,34-43 are found, such as a strong direction of catechesis for gentiles, the speech being addressed to gentiles, emphasis on God’s intention for universal salvation, and a rather detailed explanation on proclamation of Jesus’ life on earth.
The core theme of the text can be expressed in these two points:
1. Universality of God: The theme of ‘universality of God’ has a two-fold function, since it applies to both Jews and gentiles. As Peter himself had to learn, Jewish people had to abandon the idea that they were the only chosen people. God’s universality is revealed in Jesus, so much so, that Peter proclaims Jesus as “Lord of all people”.
2. Comprehending ? witness: Such message is revealed through ‘my’ comprehending and ‘your’ comprehending. However, salvation is not given merely through ‘my and your’ comprehending. ‘We’ have to witness Jesus, his life on earth, and his resurrection. God acts through Jesus, and God has made him Lord of all, and furthermore God has appointed him as the judge of all. Such witness was already borne by the ‘prophets’.
Each vocabulary and expression examined by the above analysis, ultimately shows that this text was composed by Luke. The vocabularies, literary style and the theological themes confirm that it is clearly Lukan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