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4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갈바니 전지와 전해전지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나타나는 오개념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갈바니 전지와 전해전지에서 전극의 부호 및 용어 사용에 있어서 (+)극, (-)극 그리고 산화전극, 환원전극을 바르게 선택하였으나, 그렇게 선택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올바른 과학 개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전력 측정의 정량적인 면에서는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정확하게 알고 있었으나 전기화학 원리에 대한 정성적인 면에서는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니엘 전지의 염다리 역할에 대해서는 염다리를 통한 이온의 이동에 의해 용액의 전기적 중성이 유지된다는 사실은 대부분 정확하게 알고 있었으나 그 외에 이온의 이동에 의해 회로가 완성된다는 포괄적인 개념은 가지고 있지 못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수용액의 전기분해에서는 표준 전극전위값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였으며 이온만이 전기분해 반응에 관여한다고 생각하여 물의 반응은 고려하지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ception types related to Galvani and electrolytic
cells. Sanger and Greenbowe's interview protocols for the cells were used with modifications
in this study. These questions were administered and follow-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This study revealed that several pre-service teachers in the
sample were confused about identifying the anode and cathode, understanding the charge on
the anode and cathode, understanding the need for a standard half-cell, predicting the products
of electrolysis, and understanding current flow in Galvani and electrolytic cells. In the case of
the purpose of the salt bridge, it was shown that pre-service teachers only thought that the salt
bridge is for ion movement of two solutions involving electrodes, but they didn't have the
conception that the salt bridge has a roll of connecting a circuit. Most pre-teachers had
misconception in electrolysis of solution taking no account of water electrolysi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hat pre-service teacher's conceptual difficulties and
misconceptions were caused by insufficient expert knowledge, insufficient explanations of the
textbooks, and teachers having misconcep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