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나라의 외교정책을 분석할 때, 외교적 방법론의 차원과 참가국 수의 두 차원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외교 방법론의 차원은 일방주의/협조주의의 차원이며, 참가자 수로는 양자주의/다자주의로 구분해야 혼동이 없는 조합이 된다. 미국은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양자적 일방주의로 고립주의를 떠나서, 1차대전 중에는 다자간 일방주의로 대응했다. 전반부에는 다자간 일방주의/협조주의로 대응했다. 일본의 진주만 기습을 계기로 전면적 윌슨주의가 적용되었고, 유엔과 브레튼우즈 체제를 통해 2차대전 후의 국제질서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다자간 협조주의 외교를 펼쳤다. 그러나 이후 미국 외교는 다자주의를 선택적으로 적용시킴으로써, 보편적 외교원칙으로서의 다자주의는 패권을 감추기 위한 위장으로 의심을 받기도 하였다.
When we attempt to analyze diplomatic approaches of a specific state, we have to take account of two dimensions: the dimension of diplomatic attitude (unilateralism/cooperativism) and the dimension of a number of diplomatic players (bilateralism/multilateralism). The United States, after responding to World War I with multilateral unilateralism, led World War II by applying Wilsonianism and created a new world order on the basis of multilateral cooperativism. The United Nations system and Bretton Woods system symbolize the U.S.-led multilateral cooperativism. But, United States has applied these global principles differently in different regions, and projects its norms onto the global scene in a highly selective fash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