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貨殖傳 수용의 양태와 경향
A Study on Receptible Trend of Hwasikjeon(貨殖傳)
서신혜
한국문화 권 38호 31-55(25pages)
UCI G704-001253.2006..38.009

본 연구는 심리치료자들의 성장을 위한 국제합동연구 (CRN: ISDP)의 한 부분으로 (Bae, Joo, & Orlinsky, 2003; Joo, Bae, & Orlinsky, 2003; Orlinsky et al., 1999), 한국의 심리치료자들이 보고한 치료자로서 자신들의 강점에 관한 연구이다. Hill, Thompson and Williams의 합의의 질적연구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방법을 사용하여, 이 합동연구에서 사용하는 공통핵심질문지 중 치료자의 강점 부분을 알아보는 열린 질문에 반응한 371명의 한국심리치료자들의 자료를 근거로 한다. 1) 치료자로서의 자기 자신의 최대 강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2) 이런 강점은 현재의 실무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3) 이런 강점을 갖게된 원인은 무엇으로 여기는지, 4) 이런 강점이 최근에 바뀐 것인지, 바뀌었다면 그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반응한 자료를 주제와 핵심아이디어로 도출하는 분석을 하고, 예비연구로 치료자들의 개인적 분야 (성별과 연령)에 있어서, 또한 전문적 분야 (직업과 경력)에 있어서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았다. 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치료자들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제안과 미래연구에 대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This thesis is written on receptible trend of Hwasikjeon. Hwasikjeon is a part of Sagi that was a must book for classical scholars. Until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only fragmentary words of Hwasikjeon were included in texts. But a new trend was appeared on reception of Hwasikjeon. First, Hwasikjeon was a good text of reading. Many people recited it and this trend found out at various collection of works. Specially, people read it from early years. Seconds, Hwasikjeon was a model of writing. Some people took as an example to Hwasikjeon. And some composed Joseon Dynasty' Hwasikjeon by oneself. Other people wrote notes on Hwasikjeon. Thirds, Hwasikjeon was regarded as economic book. In substance, ‘hwasik’ means multiplication of property. Sa Ma-cheon(司馬遷) focused on the economic problem and rich people. But in our country, Hwasikjeon was read as economic after 18c. Hwasikjeon is a good mirror of times. The trend of Hwasikjeon are in accord with change in Joseon Dynast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