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상 활성탄을 이용한 회분식 흡착실험과 연속식 흡착 컬럼 실험을 통해 이온성 및 비이온성 의약품의 제거특성을 평가하였다. 초기 혼합 의약품을 10 g/L로 주입한 회분식 흡착실험의 경우 입상 활성탄을 500 mg/L로 하였을 때 대상 의약품은 94~98% 이상의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이온성 의약품은 pH가 감소할수록 흡착능이 증가하였으나 비이온성 의약품의 흡착능은 pH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온성 의약품은 pH가 이온화 상수(pKa) 이하로 낮아짐에 따라 COOH형태로 비이온화되어 흡착이 용이하게 되지만 pH가 pKa 이상에서는 이온 상태의 COO-로 존재하게 되어 흡착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pH저하는 액상내 H+ 증가 및 활성탄 표면에 양하전을 증가시켜 용액으로부터 이온성 의약품을 이온 결합에 의해 제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40일간 흡착 컬럼을 연속 운전한 결과 15분의 공탑체류시간(EBCT)에서는 활성탄과 의약품의 충분한 접촉시간으로 대상 의약품에 대해 93~99%의 제거율을 얻었다. 짧은 EBCT의 운전조건에서는 이온성 의약품 가운데 CA, IBP 및 GFZ가 다른 이온성 및 비이온성 의약품에 비해 빠르게 파과에 도달했고 EBCT의 변화에 따른 흡착특성의 변화는 비이온성 의약품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정수 처리공정을 통해 제거되기 어려운 의약품을 입상 활성탄 흡착공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rench psychoanalyst Jacques Lacan’s thought about the unconscious. Some consider that Lacan’s work has come to dominate film theory, is a central point of focus in feminist theory, and has become a major and apparently permanent influence in visual criticism. From very early on his work, Lacan says that the unconscious is
structured like human language. For him desire is the metonymy of the want-to-be and
symptoms are the metaphor of the analytic sense. It is thus the place where the analyst can read the screen which is consist of man’s desire and symptom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a general outline of Lacan’s theory of the rhetoric of the unconscious and to suggest its relevance to the field of visual criticism. Lacan’s thought is complex and dense and in the space of a short article, I can hope only to provide the barest, most essential sense of it. I will
proceed by how and why the analysis of the visual images can be helped by Lacanian
psychoanalysis. This statement will provide a template for subsequently identifying and
describing those aspects of the Lacanian system that bear most directly on the analysis of the visual i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