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크레딧 사업은 저소득층이 직면하는 제도권 금융에서의 담보력 격차로 인한 접근가능성 문제를 해결하는 기제로 도입되어 개발과 빈곤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크레딧 사업이 경제개발과 빈곤감소라는 양립하기 어려운 목적을 동시에 만족하는 획기적인 복지정책으로 인정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하여 그 정책목표, 즉 형평성과 경제성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특히 경제성 측면에서 그라민뱅크를 중심으로 살펴본 경우 높은 수익성 창출의 결과를 볼 수 있었으며, 슈레이너(M. Schreiner)가 실시한 비용-효과성분석에서는 마이크로크레딧 사업의 사회적 편익과 비용을 직접 측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순편익이 최소한 0보다 크게 될 만한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크레딧 사업 내용의 강요된 저축은 빈곤의 악순환 고리를 끊는 기제로 작동하여 빈국의 경제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마이크로크레딧 사업의 방편인 창업지원제도의 경우 창업으로 인한 빈곤층의 실업 감소 및 소득 증대 그리고 사회적 기업(Social Business Entrepreneurs)의 생성을 통한 새로운 영역에의 투자라는 측면에서 거시경제적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마이크로크레딧 사업이 활성화 되기 위한 정책적 제언으로서 마이크로크레딧 운영기관의 재정자립도 향상의 필요성, 정부역할의 확대(법률체계의 정립, 재정적 지원, 하부구조의 형성), 일반은행의 참여 확대 등에 대해 논의한다.
The effects of convection on the crystal growth rates of mercurous chloride (Hg2Cl2) are investigated for convective-diffusive
conditions and purely diffusion conditions achievable in low gravity environments under a nonlinear thermal profile. For 4
≤ MB ≤ 472.086, the solute driven convection (solutal Grashof number Grs = 1.72 × 105) due to the disparity in the molecular
weights of the component A (Hg2Cl2) and B (argon:Ar) is stronger than the thermally-driven convection (thermal Grashof
number Grt = 1.05 × 104), for an aspect ratio (transport length-to-width) of 5, total pressure of 35,455 Pascal, Pr = 0.667, Le
= 0.47, Pe = 3.57, Cv = 1.029. With the temperature humps, there were found to be in undersaturations along the transport
path for convective-diffusive processes ranging from DAB = 0.0584 cm2/s to 0.584 cm2/s, in axial positions from 0 to 7.5 cm. The
diffusion mode is predominant over convection for gravity levels less than 0.1 g0 for the horizontally-oriented config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