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공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교실수업 디자인에 관해 논의하고 그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효과적인 교실수업에 영향을 줄 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수업의 산물은 학습자의 흥미동기, 학업성취, 학습전이 등이며 학습자의 흥미나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업변인들로는 지능, 교과서 및 수업 내용, 다양한 매체활용 및 학습활동, 학습자의 지식수준을 고려한 교육과정 등을 들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 요인들을 학습자 특성, 교수방법, 교육내용, 수업환경으로 구분하고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효과적인 수업과의 관련성에 대해 모색하였다. 둘째, 수업 영향 요인들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실제 교실수업 장면에서 학습자들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학습자에 대한 충분한 이해, 교사들의 체계적인 수업준비, 통합된 교과내용, 자율적인 수업환경 등으로 제안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하였다.
The 16th presidential election in 2002 marked a turning point in Korean politics. Above all, it was a departure from the authoritarian era symbolized by the three Kims who had dominated Korean politics for the last three decades. In addition, it marked Korean politics' entrance into an era of full-scale utilization of the media politics. But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exhibited both the bright and dark sides of media politics. Despite the immature state of media strategy in Korea, the election demonstrated that a candidate successful in mounting media-friendly events and issues could win an election. Roh's triumph can largely be attributed to his media events, MDP's semiprimaries (dubbed "the weekend drama"), and candidacy unification negotiations with Chung Mong-jun. The election also witnessed a sharp increase in the influence of the Internet and the declining influence of major conservative newspapers.
The major traditional newspaper failed in their efforts to affect the election by focusing on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On the other hand, public mourning of two teenage girls and demand for a revision of SOFA emerged as a critical issue through the medium of the Internet. Despite the power of media politics, several problems arouse, including those of the media's impartiality and the sensationalism of election news and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