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생산직 노동자 부족과 국제화의 흐름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의 국내 유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 이들의 경제 여건 및 근로 환경이 열악함에 따라 건강손상에 대한 우려가 높은 실정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위험계층인 국내 체류 조선족의 식생활 평가를 통하여, 외국인 근로자의 보건영양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 법 2004년 5월 6일부터 8일까지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주최로 서울에서 개최된 건강증진 비만체험 박람회에서 인터넷 사전 등록과 현장 접수를 통해 모집된 국내 체류 중국계 조선족을 대상으로 조사가 시행되었다 . 일반 사항과 식생활조사를 모두 완료한 조선족 69명(남 28, 여 41)과 대조군으로 참여한 성인 127명(남 52, 여 75) 등 총 196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 영양상태평가는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1일 식품섭취량 조사 및 33문항으로 구성된 간이식품섭취빈도조사법으로 하였으며 , 식생활의 양적질적 평가를 하였다 .
결 과 한국 내 체류 조선족의 일일 에너지 섭취량 및 영양소 섭취량은 일반 성인에 비해 전반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 평균 영양소 적정도도 조선족(0.74)이 일반 성인 (0.85)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 영양밀도를 분석한 결과 , 조선족은 칼슘과 리보플라빈의 영양밀도가 다른 영양소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 질적으로 가장 문제되는 영양소이었다 . 식품섭취빈도 분석 결과 , 조선족은 일반 성인에 비해 쌀 , 돼지고기, 양고기를 유의하게 자주 섭취하였으나 콩 , 버섯류, 해조류, 김치섭취 빈도는 유의하게 낮았으며, 탄산음료 섭취 빈도도 유의하게 낮았다 .
결론 국내 체류 조선족은 영양섭취가 양적, 질적으로 부족했으며, 칼슘과 리보플라빈이 가장 부족한 영양소이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국내 체류 조선족에 대한 식생활 관련 자료는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 사업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Backgrounds : Improving the health status of minority populations is a major target in public health challenge.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nutrients intake and nutritional quality between Korean-Chinese, who is temporary residing in Korea, and Korean adults.
Methods : Sixty-nine Korean-Chinese (male 28, female 52) and 127 Korean (male 41, female 75), aged 30 years and over, were interviewed during the Free Medical Screening Program in 2004. Dietary intake was assessed using a 24-hour recall method and a brief food-frequency questionnaire. Diet quality was assessed by nutrient intake, Nutrient Adequacy Ratio (NAR), Mean Nutrient Adequacy Ratio (MAR), percentage of subjects under 75%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RDA),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and frequency of food group intake.
Results : The daily intake of energy, protein, fat, calcium, phosphorus, iron, vitamin A, thiamin, riboflavin, and niacin of Korean-Chines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Korean subjects. The MAR of Korean-Chinese subjects (0.74)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Korean subjects (0.85). The INQs of calcium and riboflavin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Korean-Chinese subjects than for Korean subjects, while INQ of calcium was the lowest in both subjects. Rice, pork, and lamb were more frequently consumed by Korean-Chinese, compared to Korean subjects. However, soy, mushrooms, seaweeds, kimchi, and carbonated beverages were less frequently consumed by Korean-Chinese.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Chinese residing in Korea showed a poor nutrition status in quantity and in quality, compared to Korean. These results would be used to plan a nutritional surveillance program for Korean-Chi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