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Chaotic Homeomorphisms of $C$ Induced by Hyperbolic Toral Automorphisms and Branched Coverings of $\bar C$
이주성
UCI G704-000207.2003.18.1.008

본 연구는 농촌어메니티를 농촌주민이 지닌 정주기능으로서의 생활자원화와 도시민이 보이는 방문가치로서의 관광자원화로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농촌자원의 중요도와 순위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자원을 자연적 자원과 문화적 자원, 사회적 자원으로 구분하여 37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어메니티를 형성하거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대상)으로 볼 수 있고, 이러한 자원들은 농촌주민과 도시민의 효용에 기초하여 생활자원적 가치와 관광자원적 가치를 차등적으로 지닐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농촌자원에 대한 중요도 평균에 대한 차이검증(t-test)을 수행한 결과 전체 자원의 56.8%에 해당하는 21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둘째, 농촌자원에 대한 순위적 관계분석에서 전문가와 전체집단(전문가+농촌주민)의 생활자원과 관광자원에 대한 순위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촌자원 개발의 방향과 가치부여가 각 자원의 속성과 효용에 따라 차등적으로 진행되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농촌주민의 경우 생활자원과 관광자원에 대한 순위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생활자원과 관광자원에 대해 뚜렷하게 구분할 수 없거나 혹은 농촌자원의 가치평가가 정주거주성에 편향되어져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도시민의 관광자원화와 전문가나 전체집단의 순위상관관계수가 농촌주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시간적, 경제적 제약이 있을 경우 전문가에 기초한 농촌자원의 관광자원 개발방향 수립이 타당성을 가진다.셋째, 농촌자원을 생활자원화와 관광자원화에 대한 표준화 점수에 기초하여 각각 4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유형 Ⅰ은 생활자원화와 관광자원화의 중요도가 모두 평균이상인 기초핵심자원의 성격을 지니고, 유형 Ⅱ는 생활자원중심형으로, 유형 Ⅲ은 관광자원중심형으로 나타났다. 유형 Ⅰ∼Ⅲ에는 전체 자원의 62%에 해당하는 23개 자원이 포함되었다. 유형 Ⅰ에 해당되는 자원은 모두 최소한의 수준 이상이 되도록 고려하면서 농촌마을의 개발목적에 비추어 생활자원형이나 관광자원형과의 연계를 통해 마을의 정체성과 특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앞서 살펴본 최소 23개 자원을 대상으로 우리 나라 실태를 반영한 농촌자원에 대한 상대적인 존재 수준과 주민들의 이용과 관리, 보존의식 등에 대한 자료가 축적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농촌자원은 이용 및 소비 주체에 따라 각기 다른 가치와 개발방향을 지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해당 농촌자원에 대한 구체적인 가치를 정주기능과 관광적 입장에서 계량적으로 밝히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농촌자원을 실질적으로 이용하거나 소비하는 집단의 공간적 범위와 사회·경제적 특성을 규명하는 작업 또한 농촌자원 개발·정비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요구된다.

It is well known that there exists a regular branched covering map from $T^2$ onto $\bar C$ iff the ramification indices are $(2,2,2,$ $2)$, $(2,4,4)$, $(2,3,6)$ and $(3,3,3)$. In this paper we construct (countably many) chaotic homeomorphisms induced by hyperbolic toral automorphism and regular branched covering map corresponding to the ramification indices $(2,2,2,2)$. And we also gave an example which shows that the above construction of a chaotic map is not true in general if the ramification indices is $(2,4,4)$ and also show that there are no chaotic homeomorphisms induced by hyperbolic toral automorphism and regular branched covering map corresponding to the ramification indices $(2,3,6)$ and $(3,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