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뇌혈관조영술을 시행한 환자정보는 복잡하여 진단치료 및 추적 등의 통계분석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환자관리를 요한다. 저자들은 Microsoft Access Program으로 환자정보를 기록, 분석하는 실제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뇌혈관조영술 환자에 적용한 경험과 이론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2년 1월부터 현재까지 뇌혈관조영술을 시행한 환자 약 4000여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Microsoft Access 2003의 테이블, 쿼리, 폼, 보고서, 페이지, 매크로를 이용하여 관계형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실행업무설계를 위해 폼 개체에서 환자기본정보, 추적검사관리, 진단결과, 중재시술정보선택, 질의 등을 구성하고 각 해당 폼에 입력된 정보는 환자기본정보의 일련번호에 의해 관계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서로 연결하여 필요한 정보를 독립된 테이블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설계의 적용단계에서 제기된 문제점들은 ER모델을 통해 테이블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수정하였다.
결과: 자료의 활용은 테이블목록으로부터 편리한 쿼리, 폼, 리포트를 생성하여 원하는 자료를 쉽게 얻고 통계분석에 활용할 수 있었다. 6 개체를 이용한 관계형 프로그램을 통해 년간 검사건수, 질병별 분포, 병변부위별 분포, 중재시술에 따른 건수 등에 관한 자료를 얻고 일정기간별 추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중재 시술건수의 분류 및 추적검사 및 예약관리가 용이하였으며 원하는 질병이나 시술의 환자목록은 매크로기능을 이용하여 수시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시술 중 사용되는 재료의 제품명, 규격, 특성 등을 입력하여 필요한 정보를 쉽고 신속하게 검색 할 수 있었으므로 물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
결론: Microsoft Access 프로그램은 뇌혈관조영술 진단, 중재시술정보와 추적검사 및 시술재료 등은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였다. 뇌혈관조영술 환자에서 정보량이 증가하고 많은 사용자의 동시접속이 가능하게 하려면 Microsoft SQL Sever 등의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으로의 전환을 고려할 수 있다.
Purpose: Complex clinical information in cerebral angiointervention unit requires effective management of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classification of diagnosis and intervention including follow-up data from the interventional treatment. We present an application of Microsoft Access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 data in cerebral angiointervention unit which suggests practical methods in recording and analyzing the patient data.
Materials and Methods: Since January 2002, patient information from cerebral angiointervention was managed by a database with over 4000 patients. We designed a program which incorporates six items; Table, Query, Form, Report, Page and Macro. Patient data, follow-up data and information regarding diagnosis and intervention were established in the Form section, related by serial numb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o an independent Table. Problems in running the program were corrected by establishing Entity Relationship (ER) diagrams of Tables to define relationships between Tables. Convenient Queries, Forms and Reports were created to display expected information were applied from selected Tables.
Results: The relationship program which incorporated six items conveniently provided the number of cases per year, incidence of disease, lesion site, and case analysis based on interventional treatment. We were able to follow the patients after the interventional procedures by creating queries and reports. Lists of disease and patients files were identified easily each time by the Macro function. In addition, product names, size and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used were indexed and easily available.
Conclusion: Microsoft Access program is effective in the management of patient data in cerebral angiointervention unit. Accumulation of large amounts of complex data handled by multiple users may require client/sever solutions such as a Microsoft SQL Ser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