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후보
Evidence of Explicitation in Texts Translated from English into Korean: A Corpus-based Pilot Study
Kim,Soonyoung
번역학연구 6권 1호 143-166(24pages)
UCI G704-001499.2005.6.1.007

가로경관의 이미지는 가로공간 안에서 시각으로 느끼는 심리적인 인자와 물리적으로는 가로의 구조에 의해서 인지되는 인자의 복합적인 체험에 의한 것이다. 그러므로 가로경관의 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로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어떤 요소가 가로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많은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로공간을 심리적인 측면과 물리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우선, 가로공간을 지역의 특성(상업지역, 업무지역, 복합지역)으로 나누어 분석하기 위해서 지역의 특성이 명확한 가로를 평가대상으로 선정하였다.선정된 가로에서 느끼는 심리적인자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 설문방법을 사용하여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의 분석 결과, 가로경관의 이미지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서 비슷한 성향을 갖고 있으며 가로의 이미지는 쾌적함과 번화함을 만드는 인자에 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인자분석의 결과로 알게 되었다. 인자분석에 의해서 구분된 가로의 이미지 중에서 번화함이 있는 가로와 번화함이 없는 가로의 집단은 가로의 물리적 구성요소 면에서 각각 어떤 차이가 있어서 상반된 이미지를 갖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가로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판별분석을 실시하여 두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번화함이 있는 가로와 번화함이 없는 가로의 이미지는 물리적 구성요소 중에서 가로 폭, 보도 폭과 차도 폭의 비율, 건물의 높이와 가로 폭의 비율, 그리고 식재율 등의 차이가 가로의 이미지가 상반되게 느끼게 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연구는 어떤 종류의 가로라도 가로의 이미지를 보다 명확하게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게 하였으며, 번화한 이미지를 갖는 가로를 만들기 위한 물리적인 요소의 구성방법도 알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역의 활성화하기 위하여 가로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번화함이 있는 가로를 조성하기 위한 자료를 만드는 방법으로 많이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Using a small parallel corpus of student and professional transla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phenomenon of explicitation in texts translated from English into Korean. It discusses previous studies on the notion of explicitation and provides a brief description of the software tool and data to be analyz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student and professional texts differ and that the degree of difference depends on the type of explicitation, it further attempts to examine the different levels of explicitation in texts produced by both student translators and a professional translator. This paper adopts the classification of explicitation provided by Klaudy (2001). Of the four types of explicitation, obligatory, optional, pragmatic, and translation-inherent, this paper focuses on obligatory and pragmatic ones. The data used here are authentic data obtained from translation classes from a graduate school and from a professional translator. The paper focuses on the translation of three free modifier phrases in student and professional translations for the potential traces of obligatory explicitation. For the analysis of pragmatic explicitation, the paper focuses on two metonyms containing cultural information and one cultural expression. The findings support the evidence of explicitation as one of the common features of translated texts both in student and professional translations. In terms of the different level of explicitation, however, it is hard to make any generalization as only one professional translation is used while there are twenty student translations. Obtaining more than one commissioned, professional translation is virtually impossible for a non-literary text as only one is needed for publication. For greater reliability, in the future, it might be worthwhile to have more translations done simply to use them in analys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