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초제 imazapyr의 토양환경중 행동을 구명하기 위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이 상이한 8종의 토양을 이용하여 ^(14)CO₂로의 무기화 및 흡착 시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물리화학적 특성이 상이한 8종의 토양중 배양기간 동안 발생된 ^(14)CO₂의 양은 총 처리 방사능의 약 1.5∼4.9%로써 토양에 따라 상이한 방출율을 보였다. pH가 낮고 유기물이 많은 토양 C, G 및 H에서는 낮은 ^(14)CO₂ 방출량을 보인 반면 pH가 높고 유기물이 적은 토양 B와 D에서는 높은 ^(14)CO₂ 방출율을 보였다.
2. Imazapyr의 흡착실험에서 평형농도 도달시간은 네 토양 모두에서 약 3시간 이었다.
물리화학적 성질이 상이한 토양에서 0.25∼28.32%의 흡착율을 보였으며, 토양구성 요소중에서, 유기물 함량이 토양에 의한 imazapyr의 흡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Freundlich 흡착상수(K_f)는 유기물의 함량이 2.0∼21.3배 증가함에 따라 5.5∼25.6배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토양 유기물이 imazapyr의 흡착에 미치는 범위는 점토가 미치는 것보다 더 큼이 분명하다. K_f값은 토양 C, D, G 및 H에서 각각 0.44, 0.08, 0.65 및 2.05이었으며, 모든 토양에서 K_d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In order to elucidate the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herbicide imazapyr in soil, mineralization to ^(14)CO₂ and adsorption were investigated using eight types of soils with the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of 12 weeks after the treatment of imazapyr, the amounts of ^(14)CO₂ evolved from 8 types of soils with different properties ranged from 1.5 to 4.9% of the originally applied ^(14)C activities. Soil C, G, and H with low pH and high organic matter showed low ^(14)CO₂ evolution, whereas soil B and D with high pH and low organic matter did high ^(14)CO₂ evolution. 2. Time for reaching the equilibrium concentrations in the adsorption experiment of imazapyr in soils was about 3 hours at 25℃ in soil C, D, G, and H. Imazapyr was adsorbed in the range of 0.25∼28.32% in soils with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Among the soil parameters, organic matter content was the most influential in imazapyr adsorption on soil. The Freundlich adsorption coefficient (K_f) increased 5.5 to 25.6 times as organic matter content increased 2.0 to 21.3 times. Hence it seems that the extent to which soil organic matter contributes to imazapyr adsorption is greater than that of clay mineral. K_f values for the soils tested were 0.44, 0.08, 0.65, and 2.05 in soil C, D, G, and H, respectively. In all the soils tested, K_f values had a strong resemblance to K_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