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SCOPUS
일본잎갈나무 , 잣나무 , 신갈나무 임분 토양수 성질의 계절적 변이
Originals : Seasonal Variations in Soil Solution Chemistry under Larix leptolepis , Pinus Koraiensis , and Quercus mongolica stands
손요환(Yo Whan Son),류성렬(Soung Ryoul Ryu),주영특(Yeong Teuk Joo),진현오(Hyun O Jin),오종민(Jong Min Oh),정덕영(Duk Young Jung)
UCI I410-ECN-0102-2009-520-007069639

토양수 내 이온 농도의 계절적 변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광주군 퇴촌면에 위치한 26년생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신갈나무 임분의 O층, A층, B층에 zero tension lysimeter를 설치하고 1996년 9월부터 1999년 6월까지 토양수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10월과 11월에 토양수 내 K^+, Mg^2+, Cl^-, NO_3^-등의 농도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가을철 낙엽 및 낙지의 유입에 의한 것으로 보이며, 3월과 4월에 Na^-, Ca^2+, K^+, Mg^2+ 등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은 봄철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황사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토양수 내 이온 가운데서 K^+의 농도가 연중 계절별로 가장 크게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수 내 CI 농도는 K^+, Mg^2+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단변량 시계열 분석 결과 연구기간 동안 토양수 pH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Al^3+과 K^+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경향이 지속될 경우 O층 토양수 내 Al^3+농도가 식물체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최소농도 (0.018 meq/1)에 도달하려면 수종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10-20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To investigate seasonal variations of soil solution chemistr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zero tension lysimeters in O, A, and B horizons of 26-year-old Larix leptolepis. Pinus koraiensis and Quercus mongolica stands in Kwangju, Kyunggi Province from September, 1996 through June. 1999. Potassium, Mg^2+, Cl^-, and No_3^- concentrations increased in October and November concurrent with inputs of fresh litterfall and twigs. Sodium, Ca^2+, K^+, and Mg^2+ concentrations increased in March and April concurrent with the yellow sand effect. Potassium concentration showed the highest variation among ions, and Cl^- concentr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K^+ and Mg^2+ concentrations. Soil solution pH decreased while Al^3+ and K^+ concentrations increased during the study period. If our data reflects long term trends. then Al^3+ concentration in the O horizon will reach the toxic level (0.180 meq/1) within 10-20 years depending on spec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