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김제만경평야의 (金堤萬頃平野) 답토양특성과 (沓土壤特性) 그 분류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paddy soils on the Gimje-Mangyeong plains
신용화 ( Yong Hwa Shin )
UCI I410-ECN-0102-2008-520-00181560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우리나라 畓土壤에 對한 土地의 合理的 利用, 土地基盤造成 및 生産性 向上 그리고 土壤에 關한 調査硏究의 方向을 뒷받침하기 爲하여 金堤萬頃平野에 分有하고 있는 畓土壤에 對한 形態 및 理化學的 特性 그리고 그와 水稻收量과의 關係를 究明하고 이를 基礎로 하여 沓土壤의 分類法과 適性等級區分을 試案하였는 바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畓土壤의 形態, 理化學約 特性 및 그와 水稻收量과의 關係 金堤 萬頃平野에 分布하고 있는 15個 畓土壤統에 對하여 이들 土壤의 形態, 理化學的 特性을 보면 다음과 같다. 土壤斷面의 發達程度를 보면 孔德, 金堤, 萬頃, 白鷗, 鳳南, 芙蓉, 水岩, 全北, 芝山 및 湖南統는 B(Cambic B)層이 있고 極樂과 華東統은 Bt(Argillic B)層이 있으나 廣活, 新踏 및 華溪統에는 B層 或은 Bt層이 없다. 特히 孔德 및 鳳南統은 黑尼層이 心土 下部에 介在되어 있다. 土壤斷面의 土色을 보면 孔德, 廣活, 白鷗 및 新踏統은 大體로 靑灰色, 暗灰色을 띄우고 金堤, 萬頃, 鳳南, 芙蓉, 水岩, 全北, 芝山 및 湖南統은 灰色, 灰褐色을 띠우며 極樂, 華溪 및 華東統은 表土 및 表土下部의 灰色을 除外하고 黃褐色, 褐色을 띠운다. 土壤斷面의 土性을 보면 孔德, 極樂, 金堤, 鳳南芙蓉, 極南 및 華東統은 埴質이고 白鷗, 全北 및 芝山統은 埴壤質 혹은 微砂埴壤質이며 廣活, 萬頃 및 水岩統은 微砂砂壤質 그리고 新踏 및 華溪統은 砂質 혹은 石礫砂質이다. 表土의 炭素含量은 0.29%∼2.18%範圍에 있으나 1.0∼2.0%인 것이 많으며 表土의 全窒素含量은 0.03%∼0.24% 範圍에 있다. 이들은 心土 혹은 基層으로 갈수록 減少되는 傾向이나 不規則的이다. 表土의 炭窒比는 4.6∼15.5範圍인데 8∼10인 것이 많으며 心土 및 基層에서는 表土에 比하여 그 範圍가 커서 3.0∼20.25이다. 土壤反應은 pH4.5∼8.0 範圍에 있으나 廣活 및 萬頃統을 除外하고는 모두 酸性이다. 鹽基置換容量은 表土에서는 5∼13 me/100g 範圍이며 心土 및 基層에서는 砂質土壤을 除外하고 모두 10∼20 me/100g範圍에 있다. 鹽基飽和度는 孔德 및 白鷗統을 除外하고는 모두 60% 以上이다. 表土의 活性鐵含量은 0.45∼1.81% 範圍이고 易還元性망간은 15∼148ppm 範圍이며 有效珪酸은 36∼366ppm 範圍에 있다. 이들 3成分의 溶脫 및 集積은 土壤排水, 土性條件에 따라 다르지만 大體로 10∼70㎝ 範圍에 集積하고 있으나 珪酸은 境遇에 따라 鐵, 망간 보다 깊은 層位에 集積되여 있다. 各 土壤統의 主要特性은 海岸에서 부터 거리에 따라 漸變하고 있으며 粘土, 有機炭素 및 pH는 海岸으로 부터 內陸으로 옮겨가는 거리와 다음과 같은 相關이 있다. y(表上의 粘土含量) = -0.2491x²+ 6.0388x-1.1251 y (心土 및 表土下部의 粘土含量) = -0.31646x²+ 7.84818x-2.50008 y(表土의 有機炭素含量) = -0.O089x²+ 0.2192x+0.1366 로서 內陸으로 갈수록 놀아지는 傾向이며 y(心土 및 表土下部의 pH) =0.0178x²- 0.4534x-8.353 로서 內陸으로 갈수록 낮다. 土壤의 形態 및 理化學的 特性에 있어 特記되는 것은 土壤의 發達度, 土色, 母材의 多元的 堆積, 有機物層의 介入, 土性 및 土壤反應 等이였으며 이들은 畓土壤의 分類에서 考濾되여야 할 事項이였다. 土壤의 몇가지 特性과 水稻收量과의 關係에서 土壤排水가 若干良好 乃至 不良한 埴質土, 壤質土 그리고 有效深度가 낮은(50㎝) 埴質土들은 收量이 大部分 10a當 375㎏ 以上이며 砂質土, 排水가 良好한 埴質土, 有效深度가 낮은 壤質土 및 含鹽土들은 收量이 大部分 10a當 375㎏未滿이다. 水稻收量에 影響을 미치는 土壤의 形態的 特性은 土壤排水, 土性, 有效深度, 表土 및 表土下部의 灰色化 그리고 鹽濃度 等이며 이들은 畓土壤의 適性等級區分에서 考慮되여야 할 事項이였다. 2. 畓土壤의 分類 및 適性等級區分 畓土壤의 分類基準은 上壤 自體가 가지고 있는 性質에 根據를 두었다. 土壤分類單位는 土壤大群, 土壤群, 土壤亞群, 土壤系 그리고 土壤統의 5段階를 두고 分類의基本 單位는 土壤統으로 하였다. 土壤分類에 있어 形態的 特性의 差異를 決定하기 爲하여 2種類의 特徵土層 卽 熟成土層 및 半熟土層을 設定하여 이들의 有無 및 種類를 土壤大群의 分類基準으로 하였다. 土壤群 및 土壤亞群의 分類에 있어 考慮되여야 할 特徵的 土壤特性은 于先, 土色, 鹽濃度, 表土 및 表土 下部의 灰色化, 土砂의 多元的 堆積 그리고 有機物層의 介入으로 하였으며 土壤系의 分類에서 考慮한 土壤特性은 土壤反應, 土性 및 石礫含量에 根據를 두어 分類하는 한편 이들에 對한 定義를 내렸다. 그리고 筆者의 試案과 旣存의 分類案을 相互比較하여 檢討하였다. 畓土壤의 適性等級區分은 人爲約 作用에 依한 可變性이 적은 土壤特性을 토壹로 하였으며 等級區分單位는 等級 및 亞級의 2段階를 두었다. 等級은 土壤의 潛在生産力이 어

This study, designed to establish a classification system of paddy soils and suitability groups on productivity and management of paddy land based on soil characteristics, has been made for the paddy soils on the Gimje-Mangyeong plains. The morph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15 paddy soil series found on these plains are briefly as follows: Ten soil series (Baeggu, Bongnam, Buyong, Gimje, Gongdeog, Honam, Jeonbug, Jisan, Mangyeong and Suam) have a B horizon (cambic B), two soil series (Geugrag and Hwadong) have a Bt horizon (argillic B), and three soil series (Gwanghwal, Hwagye and Sindab) have no B or Bt horizons. Uniquely, both the Bongnam and Gongdeog series contain a muck layer in the lower part of subsoil. Four soil series (Baeggu, Gongdeog, Gwanghwal and Sindab) generally are bluish gray and dark gray, and eight soil series (Bongnam, Buyong, Gimje, Honam, Jeonbug, Jisan, Mangyeong and Suam) are either gray or grayish brown. Three soil series (Geugrag, Hwadong and Hwagye), however, are partially gleyed in the surface and subsurface, but have a yellowish brown to brown subsoil or substrata. Seven soil series (Bongnam, Buyong, Geugrag, Gimje, Gongdeog, Honam and Hwadong) are of fine clayey texture, three soil series (Baeggu, Jeonbug and Jisan) belong to fine loamy and fine silty, three soil series (Gwanghwal, Mangyeong and Suam) to coarse loamy and coarse silty, and two soil series (Hwagye and Sindab) to sandy and sandy skeletal texture classes. The carbon content of the surface soil ranges from 0.29 to 2.18 percent, mostly 1.0 to 2.0 percent. The total nitrogen content of the surface soil ranges from 0.03 to 0.25 percent, showing a tendency to decrease irregularly with depth. The C/N ratio in the surface soil ranges from 4.6 to 15.5, dominantly from 8 to 10. The C/N ratio in the subsoil and substrata, however, has a wide range from 3.0 to 20.25. The soil reaction ranges from 4.5 to 8.0. All soil series except the Gwanghwal and Mangyeong series belong to the acid reaction class. The cation exchange cpacity in the surface soil ranges from 5 to 13 milliequivalents per 100 grams of soil, and in all the subsoil and substrata except those of a sandy texture, from 10 to 20 milliequivalents per 100 grams of soil. The base saturation of the soil series except Baeggu and Gongdeog is more than 60 percent. The active iron content of the surface soil ranges from 0.45 to 1.81 ppm, easily-reduceable manganese from 15 to 148 ppm, and available silica from 36 to 366 ppm. The iron and manganese are generally accumulated in a similar position (10 to 70㎝. depth), and silica occurs in the same horizon with that of iron and manganese, or in the deeper horizons in the soil profile. The properties of each soil series extending from the sea shore towards the continental plains change with distance and they are related with distance (x) as follows: y(surface soil, clay content) =-0.2491x²+6.0388x-1.1251 y(subsoil or subsurface soil, clay content) =-0.31646x²+7.84818x-2.50008 y(surface soil, organic carbon content) =0.0089x²+0.2192x+0.1366 y(subsoil or subsurface soil, pH) =-0.0178x²-0.04534x+8.3531 Soil profile development, soil color, depositional and organic layers, soil texture and soil reaction etc. are thought to be the major item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a paddy soil classification.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oils belonging to the moderately well, somewhat poorly and poorly drained fine and medium textured soils and moderately deep fine textured soils over coarse materials, produce higher paddy yields in excess of 3,750 ㎏/ha. and most of the soils belonging to the coarse textured soils, well drained fine textured soils, moderately deep medium textured soils over coarse materials and saline soils, produce yields less than 3,750㎏/㏊. Soil texture of the profile, available soil depth, salinity and gleying of the surface and subsurface soils etc. seem to be the major factors determining ri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