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게, Orithyia sinica(Linnaeus)의 유생을 Zoea 1기에서 부터 Crab 13기까지 사육하여 생잔율, 탈피 간격기간, 성장을 기별로 측정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탈피간격기간은 령기에 따라 증가하나 Crab 5기에서 부터 성특징이 나타나는 시기전인 Crab 7기까지 감소 하였다가, 성특징이 나타나는 시기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한다. 수온에 따른 탈피간격기간의 변화 양상은 유사하나 실온의 경우 변동의 폭이 컸다.
2. 유생의 생잔율은 Megalopa기까지 20℃구간에서 사육한 것이 86.6%, 실온에서 사육한 것이 80.0%였다. Crab의 생잔율은 20℃의 경우 Crab 13기까지 부화후 약 540일간 사육한 것이 45%, 실온의 경우(11.0∼27.7℃) Crab 12기까지 부화후 약 540일간 사육한 것이 10%였다. 생잔율의 성별 차는 없었다.
3. 유생기의 크기는 사육온도구간별 크기가 있어 실온 구간(21.0∼24.0℃)에서 사육한 Zoea 2, 3기 유생은 20℃ 구간에서 사육한 유생들 보다 0.62∼4.03% 작았다.
4. Crab의 갑폭, 체중은 사육 온도구간에 차가 없이 1기에서 10기까지 동일하게 증가하고 11기부터는 20℃에서 사육한 Crab들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체중의 증가 양상은 제9기에서 성장이 감소 되었다가 10기에서 부터 다시 증가한다.
5. 갑장으로 측정한 성장율은 Zoea 1, 2기에서 각각 35.65%, 41.41%였으며 Zoea 2기의 성장율이 높았다.
6. 령기에 따른 성자율 값의 변화는 령기의 증가에 따라 감소 경향이 있으나 증감변동이 일정하지 않고 Crab 5기까지 감소하다가 Crab 6기 이후 약간 증가하였다가 Crab 10기 이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7. Crab 1∼13기까지의 평균 성장율은 갑장의 경우 23.87%(18.9∼30.91%), 갑폭 23.99%(17.82∼30.84%), 체중 91.51%(58.86∼129.14%)이였으며 성장율은 사육 온도구간별 차는 없었다.
Complete larval development Orithyia sinica(Linnaeus) is composed of three zoeal instars and megalopa. Survival of instars was higher in 20℃ than in ambient temperature. Intermolt period general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number of instars, but a notable decrease was observed from Crab-5 to prepuerty molt instars(Crab-7). Zoeas and megalopa reared at higher temperature regime were samller than those reared at lower temperature. No temperature effect was shown in the size of crab instars. Growth factors fluctuate with the increase of number of instars, but there was an overall trend of net decrease. Growth factor was 35.65∼41.4% for zoeal instars, and they were 18.00∼30.91% for crab inst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