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溫 27.8∼28.8℃, 鹽素量 6.71∼7.28‰Cl. 및 pH 8.0∼8.2 範圍를 維持·調査한 循環式 濾過 system과, "Green water" media system에서 갓 孵化한 zoea 幼生에게 Artemia salina nauplius 및 각종의 飼料를 給與하여 Postlarva 幼生으로의 變態日數, 變態率 및 日問生殘率을 調査·比較함으로써 各種餌料에 對한 攝餌效果를 調査함과 同時에 初期幼生의 生育에 良好한 飼育法을 究明코저 하였다. 한편 各種 餌料에 對한 攝餌效果로서는 Artemia Salina nauplius를 給與하였을때가 良好하며, 더우기 循環式 濾過 system에 依한 것에 比하여 "Green water" media system에 依하여 Artemia Salina nauplius를 給餌하여 飼育하는 것이 보다 效果的일 뿐만 아니라 Postlarva 幼生으로의 變態率 및 出現期日도 빠르고 短縮된다. 한편, 初期幼生의 50日間 飼育期間中의 日間生殘率 및 成長令期의 組成을 살펴보면, 一般的으로 孵化直後의 幼生은 2日後에 1回의 脫皮를 行하여 第2期 zoea로 移行하고 그 후 부터는 3∼4日問隔으로 10回의 脫皮를 經由하여 第1期 Postlarva 幼生으로 變態되기 始作하는데 所要되는 期間은 孵化후 30日 程度이나, 特히 第8期 zoea 부터는 脫皮間隔이 漸次로 遲延되는 傾向을 나타낸다. 또한 全令期를 通하여 死亡率이 最大値를 보이는 時期는 孵化후 4日째까지로써 이같은 現象은 孵化후의 幼生을 새로운 飼育環境에 移住시킴으로써 急激한 環境條件 變化에 遭遇하기 때문인 것과, 또한 1回의 脫皮를 行한후 孵化후 처음으로 人爲的으로 選擇한 餌料에 依하여 攝餌을 하게 됨으로 元來 本種幼生의 生育에 따른 自體選擇의 먹이와는 相異함에 適應되는 過程에서 生育方式의 變動에 起因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孵化후 14∼18日 사이에 있어서도 多少率의 死亡率이 增加되는 現象을 보이게 되나 이 時期는 幼生의 令期로 보아서 第7期 zoea로 移行되는 其間으로써 幼生의 形態樣相으로 보아서 從前과는 顯著한 分化가 일어나서 遊泳肢가 形成되는 時期로써 zoea 幼生의 全令期를 通해서 棲息에 따른 鹽素量의 嗜好·選擇性에도 轉換期에 該當되기 때문에, 이 令期의 幼生은 從前의 令期幼生에 比하여 生理·生態上으로도 多少 相異한 環境條件을 必要로 하는듯 하며, 따라서 必然的으로 먹이의 轉換도 일어나는 時期이기 때문인듯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