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대서양 황다랭이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A REVIEW OF SOME ASPECTS OF THE YELLOWFIN TUNA FISHERY IN THE ATLANTIC OCEAN
주우일 ( Woo Il Choo )
UCI I410-ECN-0102-2008-520-00178824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大西洋 황다랭이(Yellowfin tuna)漁業에 對한 最近의 資料를 國際大西洋 참치 保存委員會(ICCAT)로 부터 蒐集하며, 資源生物學的으로 分析하여 얻은 結果를 要約하면 아래와 같다. 1. 大西洋에서의 商業的인 황다랭이 漁業은 1955年에 始作되었으며, 韓國은 1964年 延繩에 依해 入漁하기 始作하였고, 1972年 부터는 채낚기 漁船도 出漁하여 참치 漁業이 二元化되었으나 아직은 延繩에 依해 主로 漁獲하고 있다. 2. 大西洋의 황다랭이 全體 漁獲量推移로 보면 漁業이 始作된 以來, 延繩漁業의 portion이 極히 높았으나, 1966年부터 表層漁業이 앞질러, 1975年의 경우에는 全體 114.0千MT 中 延繩은 25.5千MT로 23%에 不過하다. 그러나 韓國은 延繩漁獲國中에서는 1位를 마크하고 있다. 3. 大西洋에서 황다랭이를 漁獲하기 爲해 投入되는 모든 漁獲努力量을 延繩의 낚시數로 換算한 바, 1974年의 경우 約 476百萬 hooks 이었는데, 이中 延繩은 163百萬 hooks로 34%이었다. 4. 황다랭이 漁獲量을 漁獲尾數로 換算한바, 1973年에 8.6百萬尾로 平均 10.9㎏짜리가 漁獲되었다. 5. 最近에 들어 오면서, 表層漁業에서는 主群이 2歲魚群에서 1歲魚群으로, 그리고 延繩에서는 3歲魚群에서 2歲魚群으로 若年化되어 가는 現象이 뚜렷했다. 6. 最近의 황다랭이의 平均 總死亡係數(Z)는 1.5로 計算되었는데, 自然死亡 係數를0.8로 看做할 때 漁獲死亡係數(F)는 0.7로 나왔다. 7. 1973年의 加入時 體重 計算은 2.7㎏으로 나왔는데, 이는 ICCAT의 황다랭이 規制體重인 3.2㎏보다 훨씬 작다. 우리나라의 立場에서 볼 때, 延繩은 別問題가 없으나 채낚기 漁業의 경우, 이들 規制體重 未達魚體의 混獲을 낮추는 問題를 調査·硏究한 必要가 있다. 8. 加入量크기(Recruitment strength)를 比較한 結果, 强한 年級群의 加入量은 弱한 年級群의 加入量에 比해 3倍나 컸으나, 이들이 번갈아 나타나므로서 漁獲量에 미치는 영향을 最小化시켰다고 생각된다. 9. 大西洋 황다랭이의 最大持績的 漁獲量은 95-145千MT로 計算되었다. 이는 現在의 漁獲水準에 해당하는 값으로, 現在 以上의 漁獲努力의 投入은 오히려 漁獲量을 減少시키거나, 或은 希望的인 경우라 할지라도, 잉여의 努力量 投入分에 해당하는 만큼의 漁獲量 增加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10. 오늘날까지의 우리나라의 立場은 遠洋漁業의 伸張을 爲해 어떠한 形態로 든지의 國際的인 資源規制措置를 否定的인 側面에서 받아들여 왔음이 事實이다. 그러나 最近의 沿岸國의 專管水域의 擴張 움직임과 우리가 現在 使用하는 채낚기 및 延繩의 旋綱에 比한 漁法의 劣勢 및 漁獲量 portion의 相對的 減少等을 감안한 때, 적어도 表層漁業과 延繩別 漁獲量 quota 制의 實現이 長期的인 眼目에서는 우리에게 安定的인 操業을 할 수 있는 길이 될것이라 생각한다.

Korea started the Atlantic tuna fishery from 1964 by means of longline, then added bait-boats in 1972. Both fisheries have given the top priority to catch yellowfin tuna(Thunnus albacares). The paper reviews available catch, effort and biological data, estimates some population paramet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Atlantic yellowfin tuna as a whole.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otal of 476 million hook-equivalent fishing effort was thrown to catch yellowfin tuna in 1974, among which one thired was shared by longliners. 2. The dominant age group becomes younger in both surface and longline fisheries. 3. The recent mortality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as 1.5 for total mortality and 0.7 for fishing mortality. 4. The weight at recruitment was 2.7 ㎏ in 1973 which was smaller than the regulation size(3.2㎏) proposed by ICCAT. 5. The maximum sustained yield was calculated to 95-145 thousand metric tons which was the level of recent catch. Therefore, 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yellowfin tuna fishery should continue to receive close atten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