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2
18.97.9.172
close menu
Timber RAM ( Resource Allocation Method ) 의 적용성 (Ⅱ)
권오복 , 장철수
UCI I410-ECN-0102-2008-520-002480292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Timber RAM은 一次不等式의 制約條件下에서 一次函數를 最大 또는 最小化하므로서 經營上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線型計劃法(LP : Linear Programming)에 기초를 두고 개발된 長期收穫豫定模型으로 森林으로부터 保續生産되는 收益의 最大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模型의 특징은 計劃期間은 現實林을 대상으로 하는 CP(Conversion Period)와 更新林을 대상으로 하는 PCP(Post-Conversion Period)로 나누어 각 기간 동안 伐採面積 또는 材積을 통제하므로서 經營目的을 달성하게 된다. 本 硏究에서는 이러한 長期收穫豫定模型인 Timber RAM의 適用性을 검토하기 위해 강원대학교 임과대학 演習林을 대상으로 CP : 0%, PCP : ±99%를 基本制約水準으로 하여 計劃期間동안 材積收穫을 最大로 하는 長期收穫豫定案을 작성하고 材積最大分期數, CP 및 PCP 制約條件을 각각 달리하여 이러한 조건들이 最適解, 分期別 收穫量 및 收穫面積, CP와 PCP의 平均 收穫量 그리고 總收穫量 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