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0
18.97.9.170
close menu
엽병의 유관속 (維管束) 분지형에 (分枝型) 의한 단풍나무속의 계통 분류학적 연구
박광우 , 김삼식
UCI I410-ECN-0102-2008-520-001787290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단풍나무屬 10種 6變種 1品種의 葉柄을 葉柄基部에서 基本維管束 分枝 A, B, C, 혹은 B` 등 3∼4個가 葉柄頂部에 까지 變化되어 가는 形態중에서 主維管束分枝(M)을 形成하는 特徵에 의해 다음 6個 分類群으로 系統分類하였다. (a) 分類群은 B基本維管束分枝가 上部로 移動하여 主維管束分枝를 形成하는 것으로 청세열단풍이었고, (b) 分類群은 B基本維管分枝에서 2個가 分離된 후 移動結合되어 主維管束分枝에서 形成하는 樹種들로는 좁은단풍, 산단풍, 홍단풍, 조잎단풍, 홍세열단풍, 중국단풍이었다. (c) 分類群은 主維管束分枝의 形成은 b分類群과 같으나, 主維管束分枝에서 다시 中央으로 몇 개의 分枝가 分離되어 中央維管束分枝를 形成하는 樹種으로 은단풍나무이었으며, (d) 分類群은 b와 g分類群의 混合型으로 털단풍, 복자기나무, 놀웨이단풍, 카나다단풍이었다. (e) 分類群은 a 分類群과 비슷하나 B基本維管束分枝에서 1個만이 分離移動되어 主維管束分枝와 結合되는 것으로는 단풍나무, 신나무가 있었고, (f) 分類群은 d 分類群과 類似하지만 B 基本維管束分枝가 分離 移動되어 主維管束分枝의 結合되지 않고 移動中 中央에 멈추어 中央 維管束分枝를 形成하는 樹種으로는 네군도 단풍이었으며, (g) 分類群은 A, C 基本維管束分枝가 分離 移動되어 主維管束分枝를 形成하는 樹種으로 만주고르쇠, 복자나무가 있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