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목질계 Biomass의 이용을 위한 전처리법의 하나인 폭쇄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주요 수종인 소나무(P. densiflora)와 졸참나무(Q. serrata) 및 자작나무(B. platyphylla)의 chip을 폭쇄하여 이를 농황산법으로 가수분해 하였다.
그 결과 최적분해 조건 및 성상은 다음과 같다.
1) 농황산법에 의한 목분의 가수분해 결과 환원당은 75% H₂SO₄에서는 6시간, 65% H₂SO₄에서는 12시간 반응에서 최대 수율을 나타냈으나, 그 수율은 전체적으로 비교적 낮았다.
2) 농황산법에 의한 목분의 2단가수분해에서는 환원당 수율이 6시간 반에서 최대치를 나타냈으며, 그 수뮬은 1) 항보다 5배 이상 증가하였으므로 농황산법에 의한 산가수분해에서는 2단가수분해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3) 폭쇄처리재의 2단가수분해에서는 3시간 반응에서 환원당 수율이 최대치를 나타냈으며, 고압처리재의 경우 최대 환원당 수율에 도달하는 반응시간이 저압처리재보다 길었다.
4) 침엽수 폭쇄처리재의 2단가수분해 결과 환원당 스율이 압력에 따라 근소한 차이를 보였지만, 활엽수 폭쇄처리재에서는 오리혀 고압처리가 저압처리보다 환원당 수율이 낮았다.
5) 1% NaOH로 추출한 폭쇄재의 가수분해는 무처리 폭쇄재보다 환원당 수율이 낮았다.
6) 폭쇄지 가수분해약의 당조성은 활엽수의 경우에는 xylose와 glucose잔기만으로 구성되었으며, 침엽수인 소나무에서는 xylose와 glucose잔기 이외에 mannose잔기가 소량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고압처리일 수록 glucose잔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