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릿대의 효과적인 현존량 추정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自雲山地域 개발 650∼750m 지점에 連續的으로 分布하고 있는 조릿대 集團을 대상으로 1m×1m 조사구 10개를 임의로 설치하여 竹稈形質 및 器官別 現存量을 측정한 후 기관별 직선 및대수회귀식을 산출 검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수회귀식이 직선회귀시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적합도가 높았다.
2. 대수회귀식중에서 稈密度와 平均稈長(dH), 平均稈直徑과 平均稈長(dD²H)에 의한 식이 적합도가 높았다.
3. 실용성과 적합도를 고려할 때 조릿대의 현존량추정식은 조사구당 간밀도와 평균간장(dH)을 독립변수로 하는 대수회귀식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기관별 대수회귀식은 다음과 같다.
logW_t=0.8135+0.7682logdH, E-1.2428
logW_(c+b)=-1.8258-1.1522logdH,
E=1.2590
logW_s=-0.8003+0.9337log dH, E=1.2098
단, W_t, W_(c+b), W_s는 각각 조사구(1m×1m)당 잎, 竹稈과 가지, 지하부의 현존량(g/㎡) E는 상대오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