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4.90.189
3.144.90.189
close menu
}
백운산지역 천연림생태계의 삼림구조 및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박인협
UCI I410-ECN-0102-2008-520-001816716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우리나라의 主要 闊葉樹種의 分布帶인 冷溫帶闊葉樹林에 屬하는 白雲山地域 溪谷部(海拔 650∼960m) 闊葉樹天然林의 構造와 生産性을 調査하기 爲하여 植生層別 nested quadrat method에 依하여 設置된 64個 調査區의 植生調査와 物質生産 調査結果를 分析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溪谷部 全體의 優占種은 重要値와 現存量을 考慮할 때, 喬木類에서 서어나무, 들메나무, 충충나무, 고로쇠나무, 까지박달, 신갈나무, 灌木類에서 생강나무, 고추나무, 노린재나무, 철쭉으로 나타났다. 草本層의 境遇 조릿대가 優占群落을 이루고 있었다. 群集型은 서어나무 優占群集이었으며, 頂部의 境遇 局所的인 신갈나무 群集이었다. 溪谷部 全體의 林齡은 約 85年으로 推定됐다. 2) 一般的인 直徑分布型과 比較할 때 喬木類 優占種의 小徑木 密度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小喬木類, 灌木類, 조릿대와의 競爭結果로 解析된다. 3) 喬木類의 極相 樹種은 서어나무였으며, 頂部의 신갈나무, 溪川邊의 고로쇠나무는 局所的인 地形極相樹種, 까치박달, 단풍나무는 樹冠層을 달리하는 層位極相 樹種으로 認定할 수 있었다. 灌木類는 頂部에서 철쭉, 頂部를 除外한 溪谷部에서 생강나무, 고추나무가 極相樹種으로 推定됐으며, 草本層에서는 조릿대가 極相植生이었다. 4) 溪谷部 森林群集 全體의 現存量은 地上部 155.803t/ha, 地下部 46.997t/ha, 全體 202.800t/ha이었으며, 全體에 對한 喬木類, 灌木類, 草本類, 조릿대의 構成比는 各各 97.17, 1.08, 0.01, 1.74%이었다. 純生産量은 地上部 9.669t/ha/yr., 地下部 1.869t/ha/yr., 全體 11.538t/ha/yr. 이었으며, 全體에 對한 喬木類, 灌木類, 草本類, 조릿대의 構成比는 各各 85.07, 5.13, 0.10, 9.68%였다. 溪谷部 群集全體의 現存量 蓄積率과 잎의 光合成率은 各各 16.124㎏/㎏/yr., 2.515㎏/㎏/yr. 으로 算定됐다. 5) 溪谷部를 海拔高에 따라 下部(海拔 650∼750m), 中部(海拔 750∼850m), 上部(海拔 850∼950m), 頂部(海拔 950∼960m)로 區分했을 때, 土壤의 物理化學的 特性은 下部에서 頂部로 감에 따라 土壤水分, 酸度, 全窒素含量, K, Ca, Mg 이온은 減少하는 傾向이었으며, 모래의 構成比, 土壤有機物含量, C/N率은 增加하는 傾向을 보였다. 6) 溪谷上部에서 下部로 감에 따라 喬木類의 密度, 平均樹高, 胸高斷面績, 現存量, 純生産量은 減少하였으며, 喬木上層의 平均胸高直徑은 增加하였다. 頂部의 境遇 上, 中, 下部에 比하여 喬木類의 密度는 높은 反面 平均胸高直徑, 平均樹高, 胸高斷面績, 現存量, 純生産量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下部에서 頂部로 감에 따라 灌木類는 密度, 平均根元徑, 平均樹高, 根元部斷面績, 現存量, 純生産量이 모두 增加하였다. 草本類는 密度, 現存量, 純生産量이 增加하였으며, 조릿대는 竹稈密度, 平均竹稈直徑, 平均竹稈高, 現存量, 純生産量이 모두 減少하였다. 灌木類, 草本類, 조릿대의 合 卽, 下層植生의 現存量은 增加하였으며, 喬木類와 下層植生의 合인 群集全體의 現存量과 純生産量은 減少하였다. 7) 各 器管別 現存量과 純生産量 構成比는 溪谷下部에서 頂部로 감에 따라 喬木類의 잎과 樹皮는 增加하는 反面 地上部 非同化器管은 減少하는 傾向을 보였다. 8) 溪谷下部에서 頂部로 감에 따라 群集全體의 出現種數, 種多樣性, 現存量蓄積率, 잎의 光合成能率은 減少하였다. 9) 溪谷下部에서 上部로 감에 따라 重要値, 現存量, 純生産量이 減少하는 樹種은 서어나무, 고로쇠나무, 민대팻집나무, 물푸레나무, 때죽나무, 비목, 사람주나무, 개비자나무, 고추나무 等이었으며, 增加하는 樹種은 까치박달, 신갈나무, 쇠물푸레, 함박꽃나무, 생강나무, 철쭉, 노린재나무 等이었다. 中部에서 最大値를 보이는 樹種은 들메나무, 충충나무, 바위말발도리 等으로 나타났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