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1
18.97.9.171
close menu
자연산 산림부산물의 생산구조에 관한 연구
정광수 , 박태식
UCI I410-ECN-0102-2008-520-002430318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自然産 山林副産物의 諸般生産實態와 이에 影響하는 動態的 要因을 究明하기 위하여 江原道 春城地域을 都市近郊, 中山間, 奧地山間地帶로 層化한 후 總 3個 法定部落, 153家戶를 對象으로 面接聰取調査를 實施한 結果, 1) 販賣目的으로 採取되는 副産物의 種類는 山葉, 種實, 버섯, 藥材類 등 總 65種이 있으나 採取活動은 地域特性 및 販賣與件에 따라 3∼4種의 特化採取品目을 中心으로 行해지고 있었다. 2) 採取副産物의 商品化率은 매우 높았으나 採取副産物의 種類 및 採取量은 賦存資源의 多寡보다는 販賣單價와 市場需要에 의해 決定되고 있었다. 3) 奧地로 갈수록 生産副産物의 流通은 多段階의 流通經路를 거치고 있었으며 主供給先 역시 地域別 交通便否에 따라 消費地市場, 委託商, 蒐集商으로 나뉘어지고 있었다. 4) 副産物所得과 採取家口의 耕作規模와는 相互有意的인 關係가 없었으나 勞動力人口와는 高度의 有意的인 關係가 成立되어 勞動力人口가 증가할수록 副産物所得도 증가하는 경향에 있었다. 5) 各 調査地域 共通的으로 山村農家의 가장 重要한 現金所得源은 自然産副産物에 있었고 諸般林業生産活動에 의한 所得寄與度는 自然産副産物, 栽培副産物, 自給副産物, 主産物, 林業賃勞動의 順으로 나타났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