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地開墾에 의한 人工草地 造成은 急傾斜地이고 複雜한 地形의 韓國 山岳地 條件과 季節間에 氣候差가 심한 韓國의 氣候狀態로 보아 많은 問題點이 있을 것이고, 이와 같은 地形과 氣候條件들 때문에 土地利用時 愼重한 配慮가 要求된다. 山地荒廢와 洪水被害 等이 國土管理上 큰 問題點으로 되어 왔고 今後에도 이 問題 解決은 土地經營에 있어 커다란 課題로 남아 있다. 또한 食糧增産을 위한 土地의 經濟的 利用도 큰 課題의 하나임에는 틀림 없다. 이와 같이 土地利用上에 서로 相衝되는 이들 課題를 해결하기 위하여 人工土地 造成 對策을 檢討한 바 林畜人들이 相互 協同하여 이 課題의 技術을 開發시켜야 될 것으로 判斷이 된다. 國土保存 問題를 해결하고 동시에 人工草地의 문제점인 하고현상 植被密度와 年年生長의 감소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相互補完的인 生態的인 方法이 導入되어야 할 것 같다. 이를 위해 森林이 갖고 있는 土壤浸蝕防止, 土壤水分保持機能, 溫度變化機能, 空中溫度 保持機能, 防風機能과 風致機能을 잘 活用하여 國土를 保存시키고 同時에 草地生産性도 높이는 方案이 人工草地造成에 있어 기대될 수 있는 方法으로 思料된다. 이의 對策의 일환으로 有實樹와 草와의 混農林造成, 林間草地와 放牧, 闊葉樹林下의 混林草地 傾斜地에 있어 帶狀式과 細胞式의 方風 및 荒廢防備林에 의한 草地造成 또한 산능선부와 계곡부의 森林을 保存시키는 草地造成法을 提示하였다. 受光量이 問題가 될 경우에는 間伐과 가지치기 等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고 刈取作業의 機械化上의 問題는 上下 樹大의 配列 또는 配植方法에 의해 조절할 수 있으므로 混林草地造成이 草地生産性에 하등의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思料되며 오히려 草生産量을 增大시키는 方法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