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일 이암지대에는 제3기층의 연질암으로서 기암이 양파풍화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일단 황폐되면 건조가 심하여 임목생장이 불량한 토양이었으나 식혈을 깊게 파고 비료를 충분히 사용함으로써 이암지대 식생조성이 가능하다.(73`년도 임학회 발표)
2. 그러나 이암중에서도 영일 및 의창지구에 간혹 식생이 전혀 생육할 수 없는 극소 지형이 있으므로 이 지역의 토양을 분석한 결과 반토질 토양으로서 pH 2.1∼3.0 가용성 Al 0.15∼0.3%, SO₄ 0.400∼1,452ppm이었다.
3. 즉 pH가 초강산성으로 인하여 Al의 함량이 많아지고 SO₄가 지질에서 용출되는 극소지형에서는 식물생육이 불가능한 것임이 밝혀졌다.
4. 또한 초강산성으로 인하여 토양중의 P, Ca, Mg, Mo의 성분이 이용할 수 없게 됨으로 부족하게 되며 반면에 Al, Mn이 과잉흡수 됨으로 인하여 과잉독해(Toxicity) 작용을 일으켜 식물이고사하게 된다.
5. 이암지대의 여하한 토양에서는 Al 20ppm이상에서는 불용성인 산알미늄(AlPO₄)이 생기므로 인산 결핍증이 뚜렷이 나타난다(안고초, 개솔새 아까시나무)
6. 보통 토양중의 유황 함량은 10∼15ppm 정도가 식물 생육에 양호하나 본 지역에는 SO₄ 1,452ppm 까지도 검출됨으로 pH 2.1의 초강산성이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