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무類에 표고種菌을 接種하여 10年이 경과되면 資木이 腐敗되므로서 버섯의 수확이 不可하여 資本은 山野에 放置되는 것으로서 그 廢材量은 年間 約 1,200ton 以上에 達한다.
표고버섯의 菌絲는 動物의 消化作用과 Cellulase에 依한 糖化用基質에 가장 問題가 되는 리그닌을 破壞하는 리그닌 分解菌인 까닭에 표고廢材는 原木에 比하여 리그닌 含量이 減少되고 cellulose가 어느정도 單離되며 아울러 菌絲에 依하여 蛋白質 및 비타민 等이 增加되었을 것으로 思料된다. 그러므로 표고廢材는 脫리그닌을 할 必要없이 cellulose基質로 使用된다면 보다 撤底한 闊葉樹材의 利用開發에 契機가 될 것으로 본다.
1) cellulase는 活性이 가장 强力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Trichoderma viride cellulase를 使用하였다.
2) 표고廢材의 化學的 組成分, 아미노酸, 비타민의 含量을 調査하였다.
3) 표고廢材를 190℃에서 45分間 熱處理한 基質은 cellulase反應이 48時間이면 還元糖 生成量이 最高에 達하였다.
4) 표고廢材(5∼10 mesh)를 190℃에서 45分間 處理한 後 60 mesh로 粉粹하여 使用한 基質은 還元糖 生成量이 11.5%이였으며 이는 표고廢材의 全 cellulose含量이 44.6%이니까 還元糖量은 25.8%라고 할 수있다.
5) 熱處理하지 않은 표고廢材의 基質은 Cellulase反應이 72時間에 糖生成量이 最高에 達하였으며 그 量은 10.1%로 全 cellulose量의 22.6%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6) 표고버섯菌이 보다 强力한 리그닌分解力을 지닌 것으로 開發하고 Trichoderma viride Cellulase精製에 힘쓴다면 표고廢材는 糖含量이 增大될 수 있어 앞으로 표고廢材의 活用이 可能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