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52.14.31.251
52.14.31.251
close menu
}
소나무천연집단 변이분석에 있어서 자계물증가에 (字系物增加) 따른 F치의 변화
임경빈 , 권기원
UCI I410-ECN-0102-2008-520-001799227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本硏究는 1974年에 選拔하여 그후에 數年間에 걸쳐 分析한 固王山, 安眠島, 五台山의 소나무 (Pinus densiflora S. et Z.) 天然集團의 形質중에서 次代苗朮 (1-0苗, 1-1苗, 의 苗高 및 根元徑의 集團間, 家系間의 差異를 推定함에 있어 家系의 數를 어느 정도의 크기로 해야만 좋은 推定을 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본 分析은 Nested Design의 2-level의 equal Sample size에 의한 方法과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에 의한 方法 두가지를 이용하였으며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Nest Design에 의한 分析에 있어서 Sample size (家系數)의 增加에 따라 家系間의 F-値는 대체로 減少하다. 集團間의 F-倉는 점점 增加하는 傾向을 보였다. 2. F-値의 增加 및 減少의 傾向은 그 Sample Size가 적을 때는 크게 變化를 보이나 그의 크기가 대략 10을 넘으면서 부터는 다소 安定된 값을 보이고 있어 만일 Sample size가 15∼20정도가 되면 상당히 안정되고 그에 따라 集團間差異를 推定하는데 誤謬를 범함 確率은 대단히 낮아질 것으로 住論되었다. 3. 連續的으로 累積加算된 Sample size를 가지고 分析할때와 任意로 抽山組合된 Sample을 가지고 分析할 때 F-値의 變動은 後者가 훨씬 심하고 또 Sample size가 적을 때 그런 差異가 심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分析對象形質이 다를 때에는 역시 그에 따른 分析家系數의 調整이 必要한 것으로 보였다. 4.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에 의한 分析에서 家系間의 差異에 對한 分析은 集團間의 推定에 必要한 家系數보다는 적은 家系數로도 分析可能하였다. 이것은 一般的 推理를 그대로 立證해 주는것에 不過하였다. 反復區間의 差異에 대한 推定에서 Sample size(家系數)의 影響은 일정하게 말하기 힘들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