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지된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 및 가자 (Terminalia Chelbula Retz)로부터 각각 유리형 페놀산, 가용성 페놀산, 불용성 페놀산를 추출하여 식용 대두유 기질에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고자 각 추출물 1 ml(2%, w/w)와 0.02%(w/w)의 BHA, BHT를 첨가하고 45±1℃의 항온기에서 25일간 저장하면서 매 5일 간격으로 과산화물가와 TBA치를 측정하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또한 산사 및 가자의 유리형, 가용성 에스터형 및 불용성 페놀산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법으로 분리하여 GC-MS와 ¹H-NMR로 분석함으로써 각 페놀물질을 동정하였다.
1. BHA, BHT와 산사 및 가자의 유리형, 가용성 에스터 형, 불용성 페놀산을 첨가한 시험구와 대조구를 25일 저장 후 과산화물가는 88, 56, 22.1, 29.8, 50, 31, 25, 23, 141.7로 나타났다. 같은 조건하에서 TBA치는 0.383, 0.322, 0.216, 0.263, 0.311, 0.247, 0.191, 0.183, 7.744로서 과산화물가와 TBA치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2. 산사의 페놀산은 유리형 및 가용성 에스터형이 불용성 페놀산보다 항산화 효과가 더 우수하였으며 가자의 경우에는 가용성 에스터형 불용성 페놀산이 유리형 페놀산에 비하여 항산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산사 및 가자의 페놀산들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볼 때 합성 항산화제인 BHA, BHT보다 더 우수한 항산화 효력을 나타내었다.
3. 산사의 유리형 페놀산에서는 caffeic acid, protocatechuic acid, pyrogallol 등이, 가용성 에스터형 페놀산에는 caffeic acid와 phlorlglucinol이, 불용성 페놀산에서는 protocatechuic acid와 phloroglucinol이 동정되었다.
4. 가자의 유리형 페놀산에서는 ferulic acid, vanillic acid, p-coumaric acid 등이, 가용성 에스터형 페놀산에서는 caffeic acid, vanillic acid, p-coumaric acid 등이, 불용성 페놀산에서는 caffeic acid, phloroglucinol, pyrogallol 등이 동정되었다.